[프라임경제] 안전 또는 표시기준을 위반해서 적발된 생활화학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인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생활화학제품 39종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작년 환경부는 1만7179개 제품을 조사해 안전 및 표시기준을 위반한 제품 767개를 적발했다.
적발된 안전·표시 기준 위반 제품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5년 84건 △2016년 108건 △2017년 114건 △2018년 232건 △2019년 456건 △2020년 543건 △2021년 767건이다.
김 의원은 "방항제와 탈취제 등 생활화학제품 안전·표시기준 위반으로 적발되는 제품이 많아진 이유로 매해 환경부가 조사한 제품 수가 늘어난 것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하지만, 조사 제품 수 대비 적발 제품 수도 2015년 0.54%에서 2021년 4.46%로 증가해 실제로 기준 위반 제품이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방향제와 향초 등을 포함한 초 안전·표시기준 위반 제품은 작년 321개와 210개로 2015년 대비 각각 26배, 17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집이나 차에서 향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 기준 위반 제품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불법 제품으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