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대통령실, 복지부 장관 발표…비서실 일부 개편

인적 쇄신 배경 인사 '난맥상' 인정…어느 정권이든 초기 겪는 진통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22.09.07 16:28:09
[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7일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조규형 현 보건복지부 1차관을 지명했다. 

김대기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의 인선안을 발표하고, 대통령실 비서실 조직개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보건복지부 장관에 조규형 현 보건복지부 1차관을 내정했다. ⓒ 대통령실

조 후보자는 기획재정부 예산총괄과장, 경제예산심의관, 재정관리관 등 예산 및 재정 분야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정통 행정관료 출신으로, 지난 2006년 복지분야 재정투자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장기 국가비전인 '비전 2030' 입안을 총괄했으며, 현재 보건복지부 제1차관 및 장관 직무대행을 역임하고 있다. 

김 실장은 "조 후보자는 보건복지부 현안 업무 추진의 연속성은 물론 앞으로 상생의 연금개혁 추진 등을 통한 지속 가능한 사회보장제도 확립, 사회복지 및 보건의료 분야 재정지출 효율화, 건강보험제도 개편 및 필수·공공의료 강화 등 보건복지 분야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실현을 이끌어 줄 적임자라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실장은 교육부 장관에 대해서는 "조금 더 검증을 하고 있다. 조속한 시일내로 발표하겠다"며 아직 후보자를 찾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김 실장은 대통령실 비서실 조직개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먼저 시민사회수석실에 있던 디지털소통비서관은 홍보수석실로 이관키로 했으며, 종교다문화비서관실은 사회공감비서관으로 명칭만 변경키로 했다. 

또 홍보수석실은 시민사회수석실에서 이관돼 온 디지털소통비서관과 해외홍보비서관을 신설키로 하고, 해외홍보비서관은 외신 대변인도 겸직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7일 정무1비서관에 전희경(왼쪽) 제2비서관에 장경상(왼쪽)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 연합뉴스

이에 따라 정무수석실의 정무1비서관은 전희경 국민의힘 의원이 내정됐으며, 정무2비서관은 장경상 현 대통령비서실 기획비서관실 행정관이 선임됐다. 

김 실장은 "정무1·2비서관은 이미 언론에서 예측하고 보도된 분들이라 크게 설명하지 않겠다"며 전희경·장경상 비서관에 대한 설명을 일축했다. 

다음으로 시민사회수석실에는 국민제안비서관에 정용욱 현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이 임명됐으며, 시민사회수석실의 시민소통관은 현재 공석으로 직무대리로 김대남 행정관이 선임됐다. 

또 사회공감비서관으로 바뀐 종교다문회비서관에는 직무대리로 전선영 선임행정관이 맡게 됏으며, 홍보수석실의 대변인을 맡았던 강인선 대변인은 해외홍보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겨 해외 홍보 및 외신대변인을 겸직하게 됐다. 

김 실장은 "국민제안비서관으로 선임된 정용욱 비서관은 과거에도 규제라든지 안전, 환경에 대한 조정을 했다"며 "대통령실에 와서도 국민제안비서관 역할을 충실히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강 대변인이 해외 홍보 및 외신대변을 겸직하게 되면서 비어 있는 대통령실 대변인 자리에는 일시적으로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과 천효정 행정관이 새롭게 부대변인으로 선임돼 업무를 맡게 됐다.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7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대통령실 비서실 조직개편에 대해 발표했다. ⓒ 연합뉴스

한편 '이번 대통령실 인적 쇄신에 대해 특정 계파 논란이 일고 있다'는 지적에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실이 어떻게 하면 조금 더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여 국민들에게 서비스하는 최선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포인트를 뒀다"며 "특정인, 어떤 기준을 갖고 어디서 왔는지, 그리고 무능하니까 하는 그런 개념이 아니다. 적재적소에 맞는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런 차원에서 인적 쇄신을 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이번 행정관급 실무진 인적 개편 규모가 50명 정도 되는지'라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그 정도 되는 것으로 본다"며 "내부에서 재배치되는 인원도 있고, 나가는 분도 있고, 새로 들어오는 분도 있다. 하지만 인적 쇄신은 그때 그때 필요에 따라 해 나갈 것이기에 몇 명인 지는 중요치 않다"고 말했다. 

특히 '인적 쇄신 배경에 난맥상이 있었다. 책임이 있다고 볼 수 있는 인사기획관실과 총무비서관실은 오히려 책임을 피해가고 있고, 다른 분들이 떠나게 된 것 아닌가. 그래서 검찰라인이라는 이들만 살아남았다'에 대한 지적에 "난맥상 당연히 있을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처음에 누가 누군지 모르고 어느 정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모르고 사람들이 들어오게 돼 있다"며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도 초기 1년 후 많은 인원들이 바뀌었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여러분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지만 보장은 해줄 수 없다'며 많이 바뀐 것으로 아는데 처음 어느 정권이든 겪는 진통이니 이해해 달라"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