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 참석 계기인 30일(현지시간)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 양자회담을 가졌다.
양 정상은 양국 관계의 미래 비전을 포괄하는 '한-영 양자 프레임워크'를 채택하고, 양국 간 실질협력 강화 방안과 함께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주요 국제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영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과 존슨 총리는 '보다 긴밀한 협력을 위한 양자 프레임워크'를 채택했다. ⓒ 연합뉴스
'한-영 양자 프레임워크'의 구성 및 주요 내용으로는 △정무 △공동가치 △글로벌 공공재 △무역과 번영 △국방·안보 등 5개 분야 27개 항목에서 양국 간 협력 방향 제시 및 펜데믹, 기후변화, 디지털 전환 등 글로벌 현안에 공동으로 대응코자 하는 양국의 의지와 이행방안이 포함됐다.
'보다 긴밀한 협력을 위한 양자 프레임워크' 채택에 따라 이행사항은 양국 외교장관 연례 검토 후 정상에 보고하기로 했다.
먼저 '정무' 분야에서는 양자 차원 및 역내(한반도 및 인태)와 글로벌 무대 협력을 증진키로 했고, '공동가치' 분야에서는 법치·민주·인권·다자주의 수호를 위한 공동 노력을 증진키로 했따.
이어 '글로벌 공공재' 분야에서는 △보건 △기후변화 △개발 등 범세계적 현안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고, '무역·번영' 분야에서는 △통상 △투자 △디지털 등의 부문에서 공동 번영의 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끝으로 '국방·안보' 분야에서는 사이버·우주·WMD 등 다방면에서 양국간 협력을 증진할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오늘 회담 계기에 '한-영 프레임워크'를 채택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동 프레임워크가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양국 협력의 또 다른 제도적 틀인 한-영 FTA 개선 협상을 통해 디지털, 공급망 등 새로운 경제통상 이슈에 관한 양자 협력 기반이 강화되길 기대했따.
또 양 정상은 원전 산업 부문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는데 공감하고, 구체 협력 방안을 지속 논의해 나가기로 하는 한편, 윤 대통령은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에 대한 영국의 지지를 요청했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한 우리의 외교적 노력을 설명하고,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의 지속적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이에 존슨 총리는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에 지지를 표하면서 변함없는 공조 의지를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