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포털의 기사 배열 및 배치도 언론행위로 볼 수 있어 인터넷신문으로 간주·규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포털 중심의 언론생태계 명암과 정책적 대안 토론회는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준호 국회의원이 주최했다. = 박성현 기자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준호 국회의원이 주최한 '포털 중심의 언론생태계 명암과 정책적 대안 토론회'가 진행됐다.
포털 중심의 언론생태계 명암과 정책적 대안 토론회는 △한준호 국회의원 △신현영 국회의원 △송현주 한림대 교수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 △유경한 전북대 교수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김동원 언론노조 정책실장 △금준경 미디어오늘 기자 △최윤정 방송통신위원회 인터넷이용자정책과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토론회 참석자들은 포털이 언론 생태계에 중요한 변수 중 하나라는 점을 인지하면서 △포털의 기사 배열 △알고리즘의 한계점 △신생 언론의 진입장벽 문제 △뉴스 콘텐츠 품질 저하 해결 방안 △아웃링크로 인한 폐해 사례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주고받았다.
송현주 한림대 교수는 "포털이 언론산업에 불공정을 주고 있다는 것과 사회적·정치적 편향성을 초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며 "(포털인 경우) 공정성 자체는 언론 규범(내적 다원성)이 강제되는 것이 아니기에 외적 다원적 문제로 보는 것이 맞다"고 언급했다.
송 교수는 "포털의 등장으로 다양성도 늘었다"며 "(포털 이전인) 지난 과거를 보면 그때보다 악화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압도적인 포털 이용률이 다원성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다원성 평가에서 원천 소스의 다원성이 더 근본적이기에 (포털이 제공하는) 뉴스서비스에 포함된 언론의 다원성이 중요하다"며 "중소 규모, 신생 언론에겐 새로운 사업 기회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온라인 뉴스 분류를 할 때 △온라인 생산자 △뉴스 집적자 △뉴스 중개자로 구분 지을 수 있다"며 "포털은 생산자(언론)와 소비자(구독자)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해 제공·선별·편집·배열하는 행위를 통해 완성된 지면, 클립들을 보여주는 재량권을 가져 사실상 언론에 가깝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현재 아웃링크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은) 2000년대 당시로 돌아가자는 주장과 같다"며 "(포털의) 현재 행위를 인정·(언론에 대한) 재정의를 하면서 사회적 책무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교수는 뉴스 콘텐츠 품질 저하 문제에 대해 "경쟁이 격화되면서 (콘텐츠 품질이) 하락하는 것으로 포털만으론 해결하기 힘들다"며 "콘텐츠 개입은 (언론 편집권 개입으로 볼 수 있어) 문제가 크다. 이에 자율로 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의견을 표명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에선 유경한 교수는 뉴스 콘텐츠의 문제는 상품 우위로 경쟁하는 것이 아닌 속도·가격 우위로 경쟁하려는 언론 생태계 자체의 문제라고 지적했으며, 오세옥 연구위원은 포털 내 알고리즘은 다수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고려하기에 공동체 가치를 위해 소수 의견을 들어야 하는 저널리즘의 객관성과는 다르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어 김동원 정책실장은 뉴스의 지위가 모호하다는 점과 아웃링크로 인한 피해 사례를, 금준경 기자는 근시안적으로 포털 저널리즘을 판단하는 정치권 내 반성 및 각성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