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제42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의 이동권을 더 배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장애인 활동가 이형숙 님이 '장애인의 속도가 이것밖에 안 돼서 죄송합니다'라고 사과하는 모습이 가슴에 간절하게 와닿았다"며 "장애인의 날을 맞아 우리 모두의 이동권과 이형숙 님의 사과에 대해 생각해 봤으면 한다"고 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조선왕조시대 청각장애인이었던 문신 이덕수와 유수원 등 과거의 정신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신 이덕수와 유수원은 여러 관직에 올라 국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시각장애인들은 세계 최초의 장애인단체 '명통시'에 소속돼 국눈을 길하게 하고 백성에게 복을 전하는 일을 맡았다.
문 대통령은 "조선시대에도 장애인의 역량과 권리를 그처럼 존중했던 전통이 있었다"며 "우리는 선조들로부터 그 같은 정신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지난 5년 정부가 노력한 부분에 대해 언급했다.
지난 5년 정부는 장애인 예산을 두 배로 늘렸고, 31년 만에 장애인등급제를 폐지해 장애인 중심의 종합지원체계를 구축했을뿐 아니라 발달장애인 생애주기별 종합대책도 마련했다. 또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 로드맵'을 수립하고, 장애인연금을 30만원으로 인상해 자립기반을 높였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각자의 속도로 삶을 살아간다"며 "남들보다 빨리 인생의 전성기에 도달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천천히 성장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속도 또한 다를 뿐 우리는 함께 살아가고 있다"며 "장애인들의 이동권에 더 배려하지 못한 우리 자신의 무관심을 자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차별 없는 세상이 우리가 가야 할 길"이라며 "편견을 넘는 동행이 우리 모두의 삶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