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혼란과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물가 상승률이 걸프전 이후로 최고치인 것으로 드러났다.

OECD 회원국의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7%인 것으로 드러났다. ⓒ OECD
17일 OECD 통계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7%로 1990년 12월 이후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당시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2배 이상 상승한 바 있다.
2월 상승률은 전년 동기(1.7%)보다 6%p 증가했다. 또한, OECD 회원국의 에너지 가격은 26.6%, 식품 가격은 8.6% 증가했다.
터키의 물가 상승률은 54.5%로 OECD에서 가장 높았으며 리투아니아(14.2%), 에스토니아(12%), 체코(11.1%) 등도 물가 상승률이 두 자릿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주요 20개국(G20)과 주요 7개국(G7)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6.8%, 6.3%인 것으로 나타났고, 우리나라인 경우 2월 물가 상승률이 3.7%로 OECD 38개국 중 32번째로 높았다.
아울러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식품 가격 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영국, 우리나라 등 3월 통계를 발표한 일부 국가에서도 큰 폭의 물가 상승세를 이어갔기 때문에 3월 지표인 경우 2월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제도 내에선 연내 중립금리(2.25~2.5%) 수준의 인상 의견과 3%p 이상의 빅스텝 강행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같은 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서면 답변을 통해 물가 오름세를 감안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조정 및 경제 성장 흐름을 관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