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코로나 정점이 오기 전 방역조치를 완화한 결과 최근 우리나라는 일일 확진자 수 세계 1위, 하루 3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 위급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 코로나비상대응특위(이하 특위)는 21일 서울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인수위에서 첫 회의를 진행했다.
회의에서는 근거 중심의 과학적 방역 및 의료 대응방안에 대한 '보건의료 분과'와 손실보상 및 중장기 재정 대응방안 등 '민생경제 분과' 등 2개 분과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특위 위원들은 보건의료 분과에서 앞으로 방역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위·중증 환자 및 사망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며, 이를 위해 기존 보건소 중심의 방역체계에서 앞으로 동네 병·의원 중심의 진단과 치료체계로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특히 현재 코로나 치료제인 팍스로비드의 공급이 매우 부족해 고위험 확진자가 적시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지적됐고, 국내에서 부족한 치료제의 위탁생산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또 팍스로비드 외 다른 치료제의 식약처 허가가 지체된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민생경제 분과로 과학적 근거 중심의 방역대응이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현재 특위 위원들은 코로나 발생 2년 2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몇 %가 코로나 항체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기확진자의 재감염율 등 코로나 전반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부족하다는데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이런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앞으로의 유행을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했다.
이에 특위 위원들은 향후 이런 자료들을 어떻게 확보해 코로나 대응에 활용할지 보다 집중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코로나 특위 중 보건의료 분과는 매주 2회 월요일과 목요일 정기적으로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다"며 "민생경제 분과도 주 1회 정기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