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방문,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협약식에 참석해 현대중공업 임직원과 전북도·군산시 등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군산조선소는 지난 2016년 세계 수주절벽 등으로 우리 조선산업에 불어닥친 장기불황에 대응하기 위한 현대중공업의 자구계획 일환으로 2017년 7월 가동이 중단됐지만, 지난 4년 7개월간 △기업 △정부 △지자체의 지속적인 대화와 노력 끝에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를 오는 2023년 1월부터 재가동하기로 지역과 합의했다.

이번 군산조선소 재가동 협약식은 최근 우리나라 조선산업에 불어온 훈풍과 함께 K-조선의 위상 회복을 확인하는 동시에 군산·전북 지역경제의 겨울이 가고 새로운 봄이 찾아옴을 알리는 자리이다. ⓒ 청와대
문 대통령은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으로 전북지역과 군산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며 "완전 가동되면 최대 2조원 이상의 생산유발 효과가 창출될 것이다. 우리 조산산업의 경쟁력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현재 우리 조산산업은 고부가가치 선박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1·2위의 수주실적을 다투고 있다. 군산조선소는 1650톤의 국내 최대 골리앗 크레인과 700m의 국내 최장 도크를 갖춘 최적의 조선소로, 군산조선소의 가동으로 추가 건조공간이 확보되면 우리 조선산업의 수주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친환경 선박에서 큰 활약이 기대되는 군산조선소에서 LNG, LPG 추진선 블록을 생산하게 되면 우리가 앞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는 친환경 선박의 세계 점유율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친환경 선박은 전기차와 함께 탄소중립을 이끌 미래 핵심 산업"이라며 "이제 군산조선소가 안정적으로 가동되면 군산은 대한민국 미래산업 선도 지역으로 굳건히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정부는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위해 최대한 지원할 것"이라며 "4월에 만료되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연장해 조선소가 재가동될 때까지 군산의 지역 경제와 조선산업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K-조선 비전 및 상생협력 선포식'을 통해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재도약을 천명하고,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담은 'K-조선 재도약 전략'을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 ⓒ 청와대
또 문 대통령은 "무엇보다 1등 조선 강국의 경쟁력을 다시 키워 선박 수주물량을 흔들림 없이 확보하겠다"며 "지난해 64%였던 친환경 선박 세계 점유율을 2030년 75%까지 확대할뿐 아니라 LNG 추진선과 같은 저탄소 선박의 핵심기술을 고도화하고 수소, 암모니아 추진 선박 같은 무탄소 선박의 시대를 준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는 내년 1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까지 힘을 모아 나갈 것"이라며 "군산은 친환경 선박의 전진기지로 다시 우뚝 서게 될 것이다. 군산 조선소의 재가동이야말로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완전한 부활을 알리는 상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