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2022 대선] "李 배우자 사과했지만 오히려 불씨"

국민 10명 중 5명 "尹 보다 李 가족 도덕성 문제 더 심각"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22.02.11 09:15:42
[프라임경제] 각 정당 대선후보들의 행보가 본격화 하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간 가족 도덕성 공방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 후보와 김 후보가 각각 자신의 논란에 대한 사과문을 밝힌 가운데 이 후보와 윤 후보 진영 간 가족 도덕성 문제가 치열해 지고 있다. ⓒ 연합뉴스


최근 이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가 '과잉 의전' 논란에 대한 사과 입장을 밝혔지만 일부분만 인정한 채 각종 논란에 대해 해명하지 않아 '과잉 논란'에 대한 사과와 논란 잠재우기가 명확히 해결되지 않으면서 지난 주와 마찬가지로 '후보 가족의 도덕성 문제'에서 윤 후보 보다 이 후보의 가족 도덕성에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혜경 씨는 지난 9일 민주당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입장문을 통해 경기도청 직원 A씨에게 음식배달 등을 지시한 수행비서 배 모 씨에 대한 부분을 인정하며 사과했다. 

하지만 공무원 불법 채용 의혹과 사적 심부름 지시, 그리고 법인카드 유용과 각종 논란에 대해서는 해명하지 않은 가운데 최근 한 언론을 통해 법인카드 사적 유용 정황 10건을 추가로 공개되면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윤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 씨 관련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초첨을 맞추며 후보 가족의 도덕성을 문제 삼고 있다.  

프라임경제신문, 펜앤드마이크, 고성국TV, 이봉규TV, 미래한국연구소 공동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피플네트웍스리서치(PNR)가 이달 9~10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 '대선 후보자들의 가족문제로 인한 논란이 보도되고 있는 가운데, 5명의 후보 중 어느 후보의 가족문제가 도덕적으로 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51.6%가 이 후보를, 41.6%는 윤 후보를 꼽았다. 두 후보 간의 격차는 10%p로 이 후보의 가족이 도덕적으로 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및 각 후보들의 가족 도덕성 문제. ⓒ 피플네트웍스리서치


직전 PNR 조사(2월5~6일)과 비교하면 이 후보는 지난 조사 49.4에서 2.2%p 더 오른 수치이며, 윤 후보는 43.6%에서 2%p 내려간 41.6%로, 이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의 사과문이 큰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에서 이 후보가 53.4%로 윤 후보(39.5%) 보다 13.9%p 더 앞서며 이 후보 가족의 도덕성 문제가 더 안 좋다고 평가했으며, 특히 '대구·경북'에서는 이 후보가 67.8%로 윤 후보(27.2%)를 40.6%p로 크게 앞서며 이 후보의 가족 도덕성 문제가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또 '부산·울산·경남(이 56.6%, 윤 38.2%)'과 '강원·제주(이 49.0%, 윤 45.1%)'에서도 이 후보가 윤 후보를 앞섰다. 

반면 '광주·전남북'의 호남권에서는 윤 후보가 49.4%로 이 후보(37.5%) 보다 11.9%p 앞섰다. 직전 PNR 조사와 비교해 보면 지난 5~6일 윤 후보는 '광주·전남북'에서 61.2% 대비 11.8%p 내려가 이 후보에 긍정적이었던 호남권에서 조차 가족 도덕성 문제에 있어 윤 후보로 조금씩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경기·인천(이 47.5%, 윤 46.7%)'과 '대전·세종·충남북(이 52.6%, 윤 40.1%)'로 두 후보 모두 오차 범위 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에서도 이 후보(남 52.6%, 여 50.6%) 가족 도덕성 문제가 윤 후보(남 40.8%, 여 42.4%) 가족 도덕성 문제보다 더 평가가 좋지 않았다. 또 연령별에서는 40대와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이 후보의 가족 도덕성 문제를 좋지 않게 평가했으며, 40대(이 46.7%, 윤 52.3%)와 50대(이 46.7%, 윤 49.0%) 조차도 윤 후보와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후보가 윤 후보 보다 가족 도덕성 문제에서 더 심각하다고 조사되고 있는 상황에서 '배우자 리스크'가 중도층의 표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국민 10명 중 5명 "정권교체 위해 야당이 집권해야"

'3월 대통령 선거와 관련해 어느 의견에 더 공감하느냐'는 대선 공감도 질문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제1 야당인 국민의힘이 집권해야 한다'가 48.6%로 '정권 안정을 위해 여당인 민주당이 집권해야 한다(39.1%)' 보다 9.5%p 더 많았다. 직전 PNR 조사 대비 '야당 집권'이 46.4%에서 2.2% 더 올랐다. 

대선 공감도. ⓒ 피플네트웍스리서치


그밖에 '거대 양당이 아닌 그 외 기타 정당이 집권해야 한다' 8.7%, '잘 모르겠다' 3.6%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대선과 총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했음에도 국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에 더해 최근 거대 양당에서 계속 문제를 삼고 있는 가족 도덕성 문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민주당 재집권 37.2%, 국힘 집권 46.4%) △경기·인천(민주당 재집권 44.7%, 국힘 집권 43.0%) △대전·세종·충남북(민주당 재집권 34.6%, 국힘 집권 59.7%) △광주·전남북(민주당 재집권 47.5%, 국힘 집권 36.6%) △대구·경북(민주당 재집권 27.5%, 국힘 집권 64.7%) △부산·울산·경남(민주당 재집권 34.3%, 국힘 집권 52.3%) △강원·제주(민주당 재집권 42.3%, 국힘 집권 49.1%)로 '경기·인천'과 '광주·전남북'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국힘 집권'을 원하고 있었다. 

이어 성별에서도 남·여 모두 '국힘 집권'을 원하고 있었다. 남성은 '민주당 재집권(40.3%)' 보다 '국민의힘 집권(50.0%)'을, 여성은 '민주당 재집권(38.0%)' 보다 '국민의힘 집권(47.3%)'을 바랬다.  

연령에서는 5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국민의힘 집권'을 원했으며, 50대 조차도 '민주당 재집권'이 46.3%로 '국민의힘 집권(46.2%)' 보다 0.1%p로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민주당 vs 국민의힘, 정당지지도 0.6%p 차이

그동안 정당 지지도에서 민주당이 1% 이상의 지지를 받고 있었지만, 이번 여론 조사에서는 1% 이하의 차이를 보이면서 유권자들의 표심이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 ⓒ 피플네트웍스리서치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갖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5.9%가 민주당을, 35.3%가 국민의힘을 꼽았다. 이들 두 정당 간 지지율 격차는 0.6%p로 초차범위 내였다. 

이어 △안철수 후보의 국민의당 9.1% △심상정 후보의 정의당 4.2% △지지정당 없다 10.0% △기타정당 2.9% △잘 모르겠다 2.6%였다. 안 후보와 심 후보의 정당 보다 '지지정당 없다'는 답변이 더 많은 이유는 국민들 대다수가 두 정당에 대한 기대감이 많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체 지지와 마찬가지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먼저 서울에서는 국민의힘이 31.8%로 민주당(30.8%)를 1%p 앞섰고, △대전·세종·충남북(민주당 34.7%, 국민의힘 42.5%) △대구·경북(민주당 21.6%, 국민의힘 50.2%) △부산·울산·경남(민주당 30.0%, 국민의힘 42.2%) 에서도 국민의힘이 민주당 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반면 △경기·인천(민주당 41.3%, 국민의힘 31.5%) △광주·전남북(민주당 51.1%, 국민의힘 22.1%) △강원·제주(민주당 41.6%, 국민의힘 32.5%)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이처럼 지역별 조사에서 보면 민주당이 근소한 차이로 앞설 수 있었던 이유는 이 후보의 지역구인 경기도와 변치 않는 지지를 보여주는 호남권에서 민주당을 계속 지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성별에서는 남성(민주당 37.1%, 국민의힘 36.7%)과 여성(민주당 34.8%, 국민의힘 34.0%) 모두 근소한 차이로 민주당을 지지했으며, 연령대에서는 △만18세~만20대 △60대 △70대 만이 국민의힘을 지지했다.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결과


한편 최근 윤 후보가 문재인 정권에 대해 '적폐수사' 발언을 하며, 윤 후보와 정부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평가는 '부정평가'가 57.1%로 '긍정평가' 38.6% 대비 18.5%p 높아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좋지 않게 평가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매우 잘 못함 40.1% △매우 잘 함 19.3% △잘하는 편 19.3% △잘 못하는 편 17.0% △잘 모름 4.3%러 대체적으로 '잘함' 보다는 '못 함'으로 평가해 새로운 정책을 시행해 지지를 받기에는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아 '긍정평가'로 뒤집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공표사항>
조사의뢰 : 프라임경제신문·펜앤드마이크·고성국TV·이봉규TV·미래한국연구소  
조사기관 : (주)피플네트웍스 리서치(PNR)
조사기간 : 2022년 2월9~10일 
조사대상 및 표본의 크기 :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18명
피조사자 선정방법 : 휴대전화 RDD 90%, 유선전화 RDD 10%
조사방법 : 자동응답전화조사
응답율 : 9.1%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 : ±3.1%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