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각) 오후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국제메탄서약 출범식'에 참석, 메탄 감축 실현에 동참하기로 했다.
이 행사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주도로 개최됐으며, 전 세계 메탄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국제메탄서약'을 공식 출범하고 국제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8월 승인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에 따르면, 메탄은 전체 지구 온난화의 약 30%, 즉 기온 .05℃ 상승의 원인물질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2030 NDC 상향' 목표에 2030년까지, 30%의 메탄 감축 방안을 담았다"며 "에너지 농·축·수산, 폐기물 분야에서 구체적인 감축 계획을 세우는 것은 물론 매립지와 처리시설에서 메탄가스를 회수해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국제메탄서약'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메탄배출량을 2020년 대비 최소 30% 감축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로서 미국과 EU가 주도하고 있다.
현재 '국제메탄서약'에는 △영국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 50개국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국제메탄서약'을 통해 특정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이 본격적인 행동으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이번 출범식이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한국은 '국제메탄서약' 가입국으로서 국내 메탄 감축 노력을 책임있게 실천하고자 하며, 메탄 감축수단을 발굴해 국내 메탄 배출량을 2030년까지 30% 감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한국은 보다 많은 국가들이 메탄 감축 서약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메탄 감축 방안을 적극 공유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개도국들이 메탄 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정책 경험 공유 등 다양한 지원과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이번에 출범한 '국제메탄서약' 참가를 통해 미국 등 G7 주요 국가들과 함께 파리협정의 실질적 이행을 주도해 나감으로써, 우리의 기후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고 파리협정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 연대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