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 선거바람을 타고 '엘시티 유령'이 왕림했다. 매번 선거 때면 어딘가에 숨었다가 고개를 내미는 '단골손님'이다. 앞서 지방선거에서 여야는 '엘시티 비리'를 놓고 한바탕 격돌했다.
서병수 후보는 "엘시티 특혜 대출 당시 오거돈 후보가 BNK 사외이사였다"며 공격했고, 오 후보는 "재직 시 엘시티 관련 결의 보고 사항은 없었다"며 방어에 나섰다. 이어 "비리 척결을 위해 엘시티 특검도입을 제안한다"며 역공을 폈다. 먼저 공격에 나선 서 후보는 이 선거에서 패했고, 특검도입은 없었다.
앞서 21대 총선에 이어 이번 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도 '엘시티 데자뷰'는 되풀이 되고 있다.
최근 부산 최고가 아파트 엘시티를 박형준 후보가 매입한 것이 알려졌고, 언론을 통해 매도자가 아들이라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또 최초 분양자가 누구인지, 얼마에 웃돈이 오갔는지를 놓고 신경전이 팽팽하다.
박 후보의 아들이 계약하던 2015년 당시에만 해도 엘시티는 세간에 알려진 유명세와는 달리 미분양 사태를 빚던 때였다. 문 정부 들어 수도권 집값이 폭등한 이후에도 부산의 집값은 잠잠하다가 변동폭이 커지기 시작한 건 지난해부터였다
이에 지난 17일 엘시티 앞에 민주당 지도부가 총출동 했고 "지역 토착 비리의 결정판이라며 특검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다. 여당은 반전에 기회라고 보고 연일 맹공을 퍼붓고 있다.
박 후보도 여당의 물량공세에 적잖이 긴장하는 모습이다. 그간 각종 여론조사에서 경쟁자 김영춘 후보를 두 자릿수 밖에서 격차를 벌리 던 때와는 달리 긴박한 분위기다.
박 후보는 기자회견을 자청 "서민적 모습을 못 보여 송구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사안의 본질은 불법 비리와 특혜가 없었다는 것"이라며 "재혼가정에 대해 감수성을 가져달라"며 이해를 구했다.
이에 김영춘 후보는 "모두가 인정할만한 자료들을 오는 23일까지 공개를 바란다"며 공세의 고삐를 바짝 조였다.
엘시티는 '권력형 비리'의 산물이다. 시민들의 시선도 대체로 곱지 않다. 그래서 정치권은 선거 때마다 좀 밀린다 싶으면 '특검 카드'를 빼든다. 하지만 변죽만 울렸지 아직 한 번도 해 본적 없다.
이영복 청안건설 회장은 전방위 로비를 통해 정·관·검계 인사들을 제 편으로 만들었다. 시민들 모두가 누려할 공간에 온갖 편법을 동원해 마음대로 주물러 얻은 개발이익을 서로 나눠 가졌다.
이중에 일부가 구속 수감되었지만 비자금 500억원, 1000억원일지도 모를 숨겨둔 비밀금고는 아직도 못 찾고 있다. 혹자는 핵폭탄급 파장을 우려해 안 찾는 것이라고 말한다. 여야 정치권 모두 판도라상자를 열기 싫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박 후보가 이처럼 뜨거운 감자를 아들로부터 지난해 평당 2700만원에 샀든 그간 얼마나 시세차익을 보았든 간에 그의 주장대로 정상적인 거래라면 주위에 갑남을녀들이 비난할 바 못된다. 부산 최고가이긴 하지만 지난해 서울지역 아파트(강남,북 22개 단지 기준) 평당 매매가(3956만원)에 비교하면 그리 높다고 보긴 어렵다.
다만 힘 꽤나 있는 자들이 개발이익에 눈멀어 랜드마크라는 그럴듯 한 포장지로 감싸 천혜 아름다운 해안경관을 '부관참시' 영구적 훼손하고, 그런 곳에 세운 콘크리트 건축물에 차기 부산시장감 또는 고위공직자가 거주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다고 볼 순 없을 것이다.
난개발로 특정 소수의 고급 주택지로 전략해 버린 해운대해수욕장은 권력자들에 의해 도둑맞은 시민들의 땅이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선거만 끝나면 유령같이 연기처럼 사라져 버린 '민주당, 엘시티 특검'이 이번에는 제대로 작동할지 기대해 본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