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사회복지사 30년, 살다 살다 이런 조직은 처음이다."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종합사회복지관(전포복지관)에 근무했던 A관장은 부산 모 대학 출신들로 겹겹이 쌓은 카르텔에 몸서리쳤다. 복지관 직원 14명 중 11명이 같은 대학 출신들로 포진해 있다.
A관장은 "상황이 이렇다보니 관장의 말 보다는 관련학과 교수 지시에 따라 조직이 움직였다"며 "관장의 지시를 무시하는 경우는 다반사고, 정상적인 업무활동을 방해하는 행위도 빈번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한 예로 "어느 날 회계 직원 둘이 교육을 가겠다고 했다. 그래서 한꺼번에 가면 업무에 지장이 생기니 나눠서 다녀오라고 하자 '당연히 관장·부장님은 함께 가면 안 되죠? 저희들만 갈 테니 남아서 자리를 지켜라'며 그냥 면전에 다 대놓고 면박을 주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포복지관은 2009년부터 지난 10여 년동안 학교법인 한 곳이 줄곳 운영해 왔다. 그러다 보니 이곳 대학 출신이 직원으로 주로 채용됐다"며 "'그들만의 카르텔'이 형성된 건 어쩌면 당연한 결과고, 외부에서 온 관리자들은 그야말로 '왕따' 취급당하기 일쑤였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5년 4월 공채로 전포복지관 관장을 맡은 그는 결국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부산시 진구에 위치한 전포복지관 전경. ⓒ 프라임경제
2018년 12월 전포복지관 수탁법인이 동의학원에서 재단법인 그린닥터스로 운영권이 넘어간 이후에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공모를 통해 신임 B관장과 과장급 직원 1명을 채용했는데 이들도 5개월을 채 버티지 못하고 전포복지관을 떠난 것으로 전해진다.
그린닥터스 관계자는 "당시 B관장과 과장은 스트레스로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는 하소연을 해 결국 사표를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두 사람의 조기 사직과 관련, 노조 측의 집단 따돌림이나 괴롭힘 문제는 없었는지 살펴볼 것"이라며 "새로 온 관장과 직원들에게 이 같은 조짐이 있을 시 즉시 인권위나 사법당국에 진정 및 고발조치를 지시해 두었다"고 말했다.
전포복지관의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2019년에 관장대행을 맡았던 C과장은 결원 직원 충원을 하면서 수탁법인에 보고도 하지 않고, 이 마저도 '부자격 채용'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린닥터스 측에 따르면 2019년 2월25일 공문을 통해 C과장(당시 전포복지관 관장 대행)에게 숙려기간 중에는 결원된 직원(2명) 공채 충원 및 을 보류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C과장은 지시를 무시하고 바로 다음달 3월18일 직원 3명(계약직)을 독단적으로 채용했다는 것.
그린닥터스는 "보고도 않고 제 멋대로 채용한 것도 문제(인사규정 15조 3항 위반)지만,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사 2급 자격 소지자를 합격시킨 것은 자칫 채용비리로 번질 소지가 있다. 내부규정에는 1급을 뽑도록 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C과장은 "당시 구청과 수탁법인 등과 합의하에 채용했다"며 "D씨가 2급이지만, 우대 요건과 면접 점수가 높아 채용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반박했다.
그런가하면 공개채용 당시에 '총 지원자 수'와 이들 중에 '사회복지사 1급 자격격 수' 등에 대해서 C과장은 "당시 지원자들에게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를 받았다"며 "공개하지 않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진다.
그린닥터스 측은 "당시 부자격 채용된 D씨는 지난해 12월31일 계약만료로 퇴사했지만 '부당해고를 당했다'며, 노동청에 구제신청을 한 상태다"라며 "민주노총 부산일반노조와 전포복지관 노조지부가 수탁법인 사무실과 복지관 앞에서 연일 시위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C과장은 현재 △사회적 기업 빵집 관련 업무상 배임 △복무규정 위반 △업무지시 불이행 △부적절한 권한 남용 등에 대해 고소·고발 및 징계(심의) 위원회 등에 회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