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주)한국보안인증은 2일 드론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인증 플랫폼을 공개했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가 지난 1일 드론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으며, 드론의 안전성·인증·통신·비행·암호·데이터보호·감사 등으로 분야를 나눠 보안 요구사항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한국보안인증은 "해당 보안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이유론 드론이 근 미래에 택배·수송 가사도우미 등으로 쓰일 전망이 있는 상황서 드론에 대한 제어권 탈취 및 운행 방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현재까지 드론이 경량화․자세제어․경로․위치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분에 치중했다"고 밝혔다.
이어 "IOT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와 연동하면 전파 방해나 스푸핑(네트워크 통신을 속이는 행위) 같은 공격에 취약할 수도 있다"며 "이러한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고자 IOT 인증 플랫폼을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이들이 발표한 플랫폼을 장착한 드론은 관제 서버와 연동하면서 드론에 대한 사용자인증과 상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호암호통신을 위한 세션키를 생성해 무선신호와 통신채널의 전송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게 했으며, 드론의 탈취 및 주파수를 잡아내는 태핑에 따른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LTE 및 5G 구간에 암호화 진행을 가능케 했다.
백건대 한국보안인증 대표는 "드론을 포함한 사물인터넷의 해킹 등 보안 이슈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사의 보안인증 플랫폼이 드론 산업 발전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