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스타조직위원회(위원장 강신철, 이하 조직위)는 오는 11월19일부터 2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지스타 2020'의 운영 계획을 비롯해 참가사, 스폰서 현황 등을 26일 공개했다.
먼저 이번 '지스타 2020'에서는 지스타 기간 방송 무대인 '지스타 라이브 스테이지'를 운영한다. '지스타 라이브 스테이지'는 현장에서 직접 진행되는 참가사와 발표 및 사전 제작된 발표 영상 송출이 병행되는 구조로 모든 방송은 '지스타TV'를 통해 방송된다.
또 현장 스테이지에서는 참가사들의 신작 발표뿐만 아니라 코스프레 어워즈 등 현장과 온라인 팬들이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온택트 이벤트 프로그램을 준비중이다.
아울러 '지스타컵 2020'이 부산 서면에 위치한 '부산 이스포츠 경기장'에서 오는 11월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진행된다.
지스타가 직접 주최·주관하는 이번 대회는 △넥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모바일) △2K 'NBA 2K21(PS4) △KT게임박스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등을 종목으로 이벤트 매치가 진행되며, 전 경기는 '지스타TV'에서 추가로 개설한 e스포츠 채널서 방송된다.
지스타 조직위 관계자는 "오프라인 현장은 관람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방역당국의 코로나19 확산 방지 노력에 협력하기 위해 관계자 외 일반 관람객의 참관은 허용하지 않는다"며 "참관을 할 수 없는 관람객을 위해 현장에서 제작·진행되는 모든 이벤트는 지스타 공식 방송 채널인 '지스타TV'에서 모두 실시간 중계로 제공된다"고 말했다.
◆인디·중소기업·아카데미 상생지원 지속
이번 '지스타 2020'의 메인 스폰서로는 위메이드(112040, 대표 장현국)가 확정됐다.
이에 조직위는 위메이드와 함께 △지스타TV △사전 제작 프로그램 △라이브 방송 등 온라인 프로그램과 함께 부산역과 해운대 백사장 등 오프라인 실외 장소 중심으로 보다 안전한 방식을 통해 유저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들을 논의하고 있다.
강신철 조직위원장은 "지난 2년간 해외 기업이 메인스폰서를 해 왔다. 어려운 시기에 국내 대표 게임 기업이 메인스폰서 참가를 확정해 준 것은 더 큰 의미와 책임감으로 다가온다"며 "메인 스폰서와 함께 지스타의 현장과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게임업계와 유저들에게 수준 높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지스타는 온택트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라이브 방송 강화를 위해 온택트 페스티벌 타이틀 스폰서로 글로벌 K팝 공연 브랜드인 'KAMP'를, 그리고 라이브 방송을 위한 글로벌 미디어 파트너로 '트위치'를 선정했다.
또 △인디 △중소기업 △아카데미 지원을 위한 인디 쇼케이스 지원 파트너에는 엔씨소프트(036570, 대표 김택진)가 참여했으며, 조직위가 △인디 △중소기업 △아카데미와의 상생을 위해 진행해 온 '지스타 인디쇼케이스'는 온라인으로 전환된다.
접수된 인디게임 총 58편을 지스타 기간 동안 지스타TV에서 장르와 주제별로 소개할 예정이며, 방송 중 개발자와 컨택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조직위 관계자는 "'인디 쇼케이스'에서는 기간 내 신청서를 제출했던 모든 개발자 및 개발사의 게임타이틀을 별도 선정 없이 전부 무료로 소개한다"며 "KOCCA, 지역진흥원 등 중소기업 비즈니스 활성화 사업 기관의 지스타 참가 지원은 BTB 라이브 비즈매칭 참가 지원으로 계속 유지된다"고 밝혔다.
◆BTB 라이브 비즈매칭 온라인으로 진행
이번 '지스타 2020'에서는 그동안 글로벌 게임 기업들이 BTB 전시장 부스에서 직접 만나 미팅을 진행해왔던 것을 코로나19로 100%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지스타 라이브 비즈매칭'은 사전 비즈매칭 후 인터넷이 연결된 카메라 탑재 스마트 디바이스와 PC 등으로 상대방과의 미팅 약속만 잡혀 있다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비대면 화상미팅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지스타 라이브 비즈매칭'은 지스타 홈페이지와 공식 모바일 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만큼 국내와 해외 참가사 간의 시차를 고려해 기존 3일에 진행되던 BTB 일정을 오는 11월17일부터 11월21일까지 5일로 확대·운영한다.
한편 지스타2020 BTC(콘텐츠 파트너) 참가사는 △위메이드 △넥슨(대표 이정헌) △크래프톤(대표 김창한) △네오위즈(095660, 대표 문지수)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대표 장인아) △KT게임박스 △컴투스(078340, 대표 송병준) △2K △오큘러스코리아 △KT리얼큐브 △카카오게임즈(293490, 각자대표 남궁훈·조계현) △게임물관리위원회 △중소 △인디 △아카데미(인디 쇼케이스 41개사 및 부산 인디커넥트 페스티벌 쇼케이스)로 참가사들의 신작 발표 및 △이벤트 △예능 △e스포츠 대회 등 여러 형식의 콘텐츠로 녹아들어 '지스타TV'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제공된다.
또 100%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BTB(라이브 비즈 매칭 주요 참가사)에는 국내기업 △넥슨 △크래프톤 △스마일게이트 △네오위즈 △넷마블(251270, 대표 군영식·이승원) △NHN(181710, 대표 정우진) △웹젠(069080, 대표 김태영) △액토즈소프트(052790, 대표 구오하이빈) △그라비티(대표 박현철) △한국콘텐츠진흥원 △지역진흥원 △한-아세안센터 등이며, 해외기업 △Nintendo △google △Paradox Interactive △facebook △Huawei △Xsolla △Nanjing Winking Entertainment △Cheetah Mobile △YOOZOO GAMES 등이 참가를 등록했다.
강신철 조직위원장은 "모두 힘든 상황에서도 게임계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지스타에 참여해 주셨다"며 "지스타의 온라인은 새로운 도전이다. 오프라인 못지않은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전달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스타 준비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