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경남미래정책은 4일 보도자료를 통해 "정희준 부산관광공사 사장이 언론사에 재갈 물리는 행위를 자행해 왔다"며 "부산시가 도입한 2+1 평가제에 따라 '컷오프' 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냈다.
부산경남미래정책은 정 사장이 최근 언론사 3곳과 해당 기자들을 상대로 부산관광공사에 비판적인 기사를 냈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청구소송 등 복수의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주장했다.
ⓒ 부산관광공사
이어 "한 매체의 경우 6건의 기사를 소송 대상으로 삼았는데 부산시 감사에서 부적정 회의비 집행으로 기관경고 조치 된 기사, 언론중재위에서 결렬된 기사까지 포함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 사장이 객관적인 사실에 따른 기사들마저 언론사와 기자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와 그 외 각종 소송 등을 남발했다"며 "부산관광공사 사장으로서 경영혁신을 해도 부족할 시간에 역행하는 행태를 저지르고 있다"고 비난했다.
끝으로 "정 사장이 부적정한 회의비 집행, 부산시 감사위원회 감사 결과 기관경고 등으로 제대로 된 공사 운영을 했다고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희준 부산관광공사 사장은 부산경남미래정책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입장을 밝혔다.
정희준 사장은 "언론사가 세 곳인 건 맞지만 한 매체를 대상으로 6건의 소송을 제기한 적이 없다"면서 "특정 언론사는 모두 7차례에 걸쳐 악의적인 보도를 냈고, 이 가운데 마지막 한 건 '운전기사 갑질'에 대해서만 소송이 진행 중이다"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반론권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후 보도해야 옳은데 해당언론사는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의적인 해석으로 보도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 밖의 나머지 두 언론사에 대해서는 앞서 부산관광공사 노조측이 '낙하산인사의 전횡'을 고발한데 대한 기사가 허위라며 고소장이 접수된 것으로 전해진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