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올해 상반기 손해보험사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29.5% 감소했다. 이는 실손의료보험과 자동차보험 손해율 급증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손해보험호사 잠정 경영실적' 자료에 따르면, 손보사들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1조48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19억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보험영업손실은 2조2585억원으로 전년 1조1132억원 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손실액 증가의 주된 원인은 장기보험의 판매사업비 지출 증가와 보험사고로 인한 손해액 증가였다.
보험종목별 보험영업손익은 손실이 확대되거나 이익이 감소했다.
장기보험은 2조1263억원 손실을 기록했다. 판매사업자 지출 증가와 보험 지급 등으로 인해 손실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5132억원 확대된 수치다.
자동차보험은 정비요금 인상과 같은 원가상승 등에 따른 보험금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손실규모가 4153억원 확대돼 총 4184억원의 손실을 나타냈다.
일반보험의 경우 2862억원의 영업 이익을 거뒀지만, 국내외 보험사고(자연재해 관련 해외 수재 등)로 손해액이 늘어 이익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168억원(43.1%) 감소했다.
원수보험료는 장기보험 판매 증가 등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1조9636억원(4.6%) 증가한 44조8912억원을 기록했다.
판매경쟁이 치열한 장기보험 보험료는 보장성보험 판매 증가(1조8016억원·9.0%)로 1조939억원(4.4%) 늘어난 26조1607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보험은 올해 보험료 인상효과 등으로, 일반보험은 특종보험(농작물 재해보험 등) 증가로 각각 2.6%(2201억원), 5.2%(2529억원) 증가했다.
2019년 6월말 기준 손보사의 총자산은 312조3271억원으로 전년 동기말 대비 28조2387억원(9.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채(책임준비금 등) 역시 장기보험 판매 증가 지속 등의 영향으로 20조8221억원(8.3%) 늘었다.
자기자본은 금리하락에 따른 채권평가이익(기타포괄손익) 확대로 7조 4166억원(21.4%)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 상반기 보험 수입 증가에도 당기순이익이 큰폭으로 감소한 것은 사업비 지출 및 손해액 증가에 따른 장기보험 손실 확대 때문"이라며 "단기적 외형경쟁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성장 가능한 경영의 내실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도한 사업비 지출로 손보사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되지 않도록 감독·검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