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BNK금융그룹(회장 성세환) 산하 BNK금융경영연구소는 '2016년 동남권 경제전망'에 대한 연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국내외 경제성장률 확대에 힘입어 동남권 경제성장률은 올해 1.5%(추정치)에서 내년 2.7%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경우 4.5%로 성장해 올해와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울산 및 경남의 성장률은 각각 2.0% 및 1.9%로 올해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자동차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력업종이 내년에도 부진할 것이며, 최대 주력업종인 조선업은 2013~2014년 수주량을 고려할 때 생산이 증가세로 반전될 것이지만 전 세계 물동량 대비 25% 정도인 선복량 초과공급 상태의 지속으로 수주전망은 밝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석유부문은 저유가 지속에 따른 수요확대로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저유가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석유화학 부문은 경기여건 및 중국의 석유화학제품 자급률 상승 등을 고려할 때 내년에도 회복이 쉽지 않다고 봤다. 보고서는 또 자동차 산업은 내년에도 신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으며, 철강업 생산은 세계 철강수요의 저조한 신장세, 중국의 내수 부진에 따른 저가물량 공급확대 등으로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기계업의 경우 건설기계는 전 세계 수요의 26%를 차지하는 중국 수요 위축 등으로 부진할 것으로 봤다.
백충기 BNK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당분간 조선, 철강 등 주력산업의 과잉공급이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지만 중국경제가 6%대 중반의 성장세를 달성한다면 내년 중 동남권 경제활동은 서비스업 등의 개선으로 올해보다는 다소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