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동유럽 디폴트(국가 부도로 채무불이행 상태로 들어가는 것) 시나리오가 결국 현실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AP 등 외신들은 현지시간 26일 루마니아가 구제금융 신청을 국제통화기금(IMF)에 하는 것이 임박했다고 타전했다. AP통신은 루마니아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국제통화기금과 유럽연합(EU) 등에 구제금융 신청을 할 예정이라는 무구르 이사레스쿠 루마니아 중앙은행 총재의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정부 관료의 발언을 인용, 적어도 100억유로(126억달러)가 필요하다고 구제금융 요청 필요성을 보도했다.
헝가리도 위기에 처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또 헝가리가 26일(현지시간) EU에 추가 구제금융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라트비아도 위험한 상황이다. 27일(현지시간) 유명 신용평가기관 스탠다드&푸어스는 라트비아의 신용등급을 BB+로 낮췄다. 지난 번 루마니아의 등급 조정에 이어 사실상 국가 신용도가 JUNK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하지만 이러한 동유럽 국가들의 위기에 서유럽이 지원에 나설지는 불투명하다. 오스트리아 등 다수의 동유럽 채권을 갖고 있는 나라나 경제 연대를 갖고 있는 국가들이 있어 서유럽이 동구권의 각종 호소를 외면하기 어렵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지원의사를 밝혀 같이 말려들었다가는 지난 해 세계를 강타한 미국발 금융위기로 체력이 저하된 서유럽 경제도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EU 유럽위원회의 토레스 대변인은 27일(현지시간) 브뤼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내가 아는 한 비(非)유로 가맹국에 대한 추가 긴급융자에 대한 협의는 없다"고 말했다. 이는 체코의 지원요청 움직임을 거부하기 위한 말이라는 게 일반적 평가다. 그러나 이는 EU에 헝가리 등 동구권의 지원 요청이 쇄도하는 상황에서 어느 선까지 지원을 할지 가입국과 비가입국을 막론 동구권 전반을 놓고 경중 판단을 이미 해 봤다는 행간이 숨어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EU의 고심을 엿불 수 있는 대목이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