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K웹툰 기업 수성웹툰(084180)은 최근 실시한 '국내 웹툰 산업 인식 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하며, 웹툰 지적재산권(IP)의 영상화와 중국 시장 확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내 웹툰 기업의 글로벌 전략과 성장 동력에 대한 대중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모바일 설문 플랫폼 크라토스를 통해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45.6%가 웹툰 IP 영상화를 통해 해외 시청자층 확대와 글로벌 팬덤 형성이 가능하다고 답했으며, 성공 요인으로는 인터넷동영상플랫폼(OTT)과의 협업 능력(38.9%)과 원작 IP의 인기 및 완성도(34.0%)가 꼽혔다.
장르별 기대도에서는 액션·판타지(45.6%)가 가장 높았다.
중국 시장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61.4%가 한한령 해제 시 K-웹툰과 연계된 문화산업 확장이 가장 크게 달라질 변화라고 답했다. 성공 전략으로는 현지 소비자 취향과 문화적 특성에 맞춘 콘텐츠 현지화(43.3%)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됐다.
수성웹툰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중국어 회원 수는 200만명을 돌파했으며, 일본·태국 등의 플랫폼에서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일본에서는 △백작가의 망나니가 되었다 △악당들에게 키워지는 중입니다 △약탈신부 △대리황후지만 첫날밤을 보내버렸다 등의 작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태국어 서비스는 올해 1월 런칭 후 월 평균 108% 성장률을 기록하며 8월 기준 회원수 6만명을 돌파했다. 이를 기반으로 아시아 내 타 언어권 서비스 확대도 검토 중이다.
또한 자회사 테라핀 IP를 기반으로 한 영상화 프로젝트도 준비 중이다. 준비 중인 작품은 △Dr. 신선한:미래를 보는 의사(판타지, 전작가·윤D) △금낙리(로맨스, 십이월사일) △부당한 일을 당했나요?(BL, 하태진) 등이 있다.
수성웹툰 관계자는 "웹툰의 영상화와 글로벌 진출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설문조사에서 확인됐다"며 "보유한 고품질 IP와 제작 역량을 활용해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과 북미·유럽까지 유통망을 확장해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성웹툰은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628억원, 영업이익 6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