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코스피200의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신흥국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코스피200의 PBR은 0.8배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2배 줄어든 수치다. PBR은 주가 대비 주당순자산(BPS)의 비율로, 1배 미만이면 시가총액이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 못 미칠 정도로 저평가됐다는 뜻이다.
코스피의 PBR은 23개 선진국의 평균인 3.4배, 24개 신흥국 평균인 1.8배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선진국 중에선 △미국 4.8배 △영국 1.9배 △일본 1.5배, 신흥국 중에서는 △인도 4.0배, 대만 2.6배, 중국 1.5배 순이다.
코스피 200의 PER 역시 11.0으로 선진국(21.3)과 신흥국(15.2) 보다 낮은 수치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로,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PER이 낮을 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다.
반면, 코스피200의 배당수익률은 2.4%로 선진국(1.9%)보다 높았지만 신흥국(2.8%)보다는 낮았다.
코스피 전체 PBR은 전년 동기 대비 01.배 줄어든 0.9배 수준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PER은 8.0배 감소한 20.7배로 집계됐다.
지난해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증시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시작했음에도 국내 증시 저평가는 더 심해졌다.
지난해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증시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시행했음에도 국내 증시 저평가는 오히려 더 심해졌다.
거래소 관계자는 "PER 하락은 글로벌 정치 불확실성 및 경기침체 우려 등에 따른 시총 감소 때문"이라며 "시가총액은 감소했으나 자본총계가 증가했기 때문에 PBR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