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벤처기업협회(회장 송병준)가 '벤처기업 주 52시간제 운영 실태 및 애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벤처기업 567개사 대표이사·인사담당 임원을 대상으로 주 52시간제 운영 실태와 애로사항 파악을 위해 지난 3월 말 시행됐다. 이는 △근로시간 총량제 △핵심 인력 대상 근로시간 예외 적용 등 근로시간제도 유연화를 위한 제도 수요 파악 조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41.1%는 현재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제조업(44.4%)은 서비스업(35.8%)에 비해 상대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주 52시간제 준수 시 애로 여부를 나타낸 표. © 벤처기업협회](/data/photos/cdn/20250518/art_686732_1746143670.jpg)
[표] 주 52시간제 준수 시 애로 여부를 나타낸 표. © 벤처기업협회
고용규모 50인 이상 기업에서는 약 70%가 제도 준수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즉, 고용규모가 커질수록 제도 준수가 어렵다는 분석이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주로 △생산성 저하·운영 차질(42.5%) △인력문제(30.1) △비용 부담(17.1%) 등을 호소했다.

주 52시간제 준수 시 '어려움 있음' 응답 비율(%). © 벤처기업협회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은 △내부 운영 조정·관리 강화(35.8%) △인력 운영 방안 마련(33.6%) △유연근로제·특별연장근로 활용(19.9%) 등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기업들은 △향후 채용 계획(34.2%) △채용 없이 내부 운영방식 개선(33.7%)을 통해 근로시간 제도 준수를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응답기업 58.0%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도입 비율은 서비스업(75.8%)이 제조업(47.1%)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 주요 유형은 △출퇴근 시간 유연(46.1%) △근로시간 조정(31.1%) △근무 장소 유연(19.2%) 순이다.
하지만 유연근무제 도입이 어려운 까닭으로 △제도 활용 제한(44.1%) △비용·보상 부담(39.0%)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근로시간 총량제' 도입에 대한 긍정적 의견도 많았다.
전체 응답 기업 68.4%는 근로시간 총량제 도입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표명했다. 특히 제조업(70.3%)이 서비스업(64.7%)보다 높은 수요를 보였다. 고용규모 50인 이상 기업에서는 제도 도입 수요가 더 높았다.
근로시간 총량제 도입이 필요한 직군으로는 기술·개발(52.9%)분야가 가장 높았다. 이어서 기획·디자인(18.2%), 영업·사업개발(13.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응답 기업은 근로시간 총량제 조정 단위로 '월 단위(46.6%)'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시간 총량제' 활용 시 예상 효과로는 △특정 시기 집중 근무 가능(49.2%) △기업 운영 유연성 증대(40.1%) △글로벌 협업 가능(8.9%) 등이 포함됐다.

'근로시간 총량제' 활용 계획. © 벤처기업협회
한편 벤처기업의 60.3%는 핵심 인력 장시간 근무가 '특정 프로젝트 시기에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도 26.3%에 달했다.
반면 장시간 근무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은 13.1%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핵심 인력에 대해 근로시간 준수를 예외로 하는 '근로시간 예외 규정' 도입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총 82.4%의 응답 기업이 '근로시간 예외 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그중 24.7%는 즉시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예외 규정 도입 시 핵심 인재에 대한 보상 방식은 △금전적 보상(40.5%) △근무시간 보상(32.3%) △성과 중심 보상(19.1%)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정 도입에 대해 기업들은 △연구개발 속도 향상(50.2%) △프로젝트 일정 준수 용이(46.2%) △기업 경쟁력 강화(33.5%)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는 예상이다.
다만 기업들은 규정 도입 과정에서 △근로시간 관리·운영상 어려움(37.1%) △법적 리스크·행정 부담(32.4%) △근로자와의 협의·노사 관계(29.9%) 등을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