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과기혁신펀드, 올해 반도체 등 5대 분야에 2500억 중점투자

반도체·AI·첨단 바이오·첨단 모빌리티·양자 분야 확정

이인영 기자 | liy@newsprime.co.kr | 2025.04.28 13:32:55
[프라임경제] 정부가 올해 2500억원 규모로 조성한 과학기술혁신펀드를 반도체·디스플레이, 인공지능(AI), 첨단바이오, 첨단모빌리티, 양자 등 5개 분야에 중점 투자하기로 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25일 과학기술혁신펀드 운영위원회를 열고 올해 주목적 투자방향을 이같이 최종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학기술혁신펀드는 정부 연구개발(R&D) 자금을 관리하는 전담은행 출자와 민간 투자를 매칭해 2028년까지 4년간 1조원 규모를 목표로 조성되는 과학기술분야 특화펀드다.

올해는 총 2500억원 규모 자펀드를 조성해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 5개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한다.

우선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는 1개 운용사를 선정해 은행 출자금 350억원을 바탕으로 총 1000억원 규모 펀드를 추진한다.

운용사는 해당 분야 중견·중소기업에 40% 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에 60% 이상 의무 투자해야 한다.

AI, 첨단 모빌리티, 첨단 바이오 분야는 각 1개 운용사를 선정해 은행 출자금 200~210억원을 바탕으로 각각 총 400~420억원 규모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운영사는 우수 기술평가 기업에 80% 이상 의무투자하게 해 유망 기업을 발굴하도록 한다.

양자 분야는 총 3개 운용사를 선정해 은행 출자금 203억원을 바탕으로 총 339억원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이 분야 중소·중견기업에 30% 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의무투자해야 한다.

특히 55억원 규모 액셀러레이터(AC)·기술지주 전용펀드를 새로 만들어 유망 양자 분야 초기 창업기업을 발굴할 예정이라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이와 함께 운용사가 공공기술 사업화 기업이나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된 기술을 사업화한 기업에 투자하면 인센티브를 받도록 하는 제도도 운용한다.

자펀드 위탁운용사 선정은 오는 5월12일 공고하고, 6월 말까지 선정해 하반기부터 펀드 조성 및 투자에 나선다.

이상윤 과기정통부 성과평가정책국장은 "앞으로도 우리의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