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부활절 연휴를 마친 뉴욕증시는 하락했다. 무역분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에 대한 압박이 계속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현지시간으로 2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971.82p(-2.48%) 급락한 3만8170.41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24.50p(-2.36%) 떨어진 5158.20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415.55p(-2.55%) 하락한 1만5870.90에 장을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압박은 이날도 계속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이자 최대 실패자가 지금 당장 금리를 인하하지 않으면 경제 성장은 둔화할 수 있다"며 "많은 이들이 선제적 금리인하를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 독립성을 위협하는 듯한 발언을 지속 내놓으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무역 분쟁도 계속됐다. 중국 정부는 이날 자국 경제에 위해를 가할 목적으로 미국과 협상에 임하는 정부에 대해서는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우 본인의 SNS를 통해 환율 절하, 부가 가치세, 보조금 지급 등이 모두 비관세 장벽에 해당한다며 여타 국가들의 무역 행태가 불공정하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미국이 협상에서 우위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매그니피센트7(M7)은 급락했다. 테슬라가 5.75% 급락한 가운데 엔비디아 역시 4.51% 하락했다. 메타(-3.35%), 아마존(-3.06%), 알파벳(-2.28%), 마이크로소프트(-2.35%), 애플(-1.94%) 주가 낙폭을 키웠다.
'매그니피센트7(M7)' 중 애플(1.40%)를 제외하고 모두 떨어졌다. 마이크로소프트(-1.03%), 엔비디아(-2.87%), 아마존(-0.99%), 메타(-0.17%), 알파벳(-1.42%), 테슬라(-0.07%) 등이다.
지난주 긍정적 실적을 발표한 넷플릭스의 경우 1.57% 오르면서 여타 기술주 대비 강세를 보였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 섹터가 하락한 가운데 경기소비재와 IT, 그리고 에너지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이날 발표된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 지수는 1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미국 경제분석기관 콘퍼런스보드는 3월 미국 LEI가 전월 대비 0.7% 하락한 100.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월 하락률 0.2%보다 낙폭이 확대됐고 시장 예상치(0.5%)보다도 나빴다.
국채금리는 엇갈렸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8.6bp 상승한 4.41%로 마감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3.6bp 내린 3.76%를 기록했다.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전일비 0.86% 내린 98.38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미국과 이란 간 협상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나오면서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60달러(-2.47%) 떨어진 배럴당 63.08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6월물 브렌트유도 역시 1.70달러(-2.50%) 하락한 배럴당 66.26달러로 집계됐다.
미국과 이란은 19일 이탈리아에서 고위급 핵 협상 2차 회담을 가졌고, 양측 관계자들은 "좋은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유럽증시는 부활절 연휴로 이날 휴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