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휴장을 하루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다. 금리인하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충돌이 일어났지만 시장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다.
현지시간으로 17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527.16p(-1.33%) 내린 3만9142.23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7.00p(0.13%) 뛴 5282.70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0.71p(-0.13%) 밀린 1만6286.45에 장을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나는 파월이 일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항상 너무 늦고, 느리다"고 발언했다.
또한 '트루스 소셜'에 "파월 해임은 하루라도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고 게시 연준은 미국 국민에게 금리를 인하할 의무가 있다 주장했다.
대통령 집무실에서도 기자들에게 "(파월 의장에게) 사퇴를 요구하면 그는 떠날 것"이라며 "나는 그의 업무 방식에 불만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파월 의장을 해임하려는 것이냐는 물음에는 답하지 않았다.
다만, 휴장을 하루 앞두고 이날은 비교적 한산했다. 이에 개별종목 장세가 연출됐다.
특히 유나이티드헬스의 급락이 다우지수 전반을 끌어내렸다. 유나이티드헬스가 실망스러운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연간 이익 전망을 하향 조정하자 이 여파로 22.38% 하락했다. 유나이티드헬스는 다우지수에서 8번째로 시가총액이 큰 기업이다.
'매그니피센트7(M7)' 중 애플(1.40%)를 제외하고 모두 떨어졌다. 마이크로소프트(-1.03%), 엔비디아(-2.87%), 아마존(-0.99%), 메타(-0.17%), 알파벳(-1.42%), 테슬라(-0.07%) 등이다.
일라이릴리는 경구용 GLP-1 약물의 3상 임상 성공 소식으로 14.3% 올랐다. 장마감 후 긍정적 실적을 발표한 넷플릭스는 시간외에서 3%대 상승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에너지와 필수소비재의 상승세가 두드러진 반면 IT와 헬스케어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아울러 이날 발표된 필라델피아 지역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 측정지표는 -26.4pt로, 기록적인 폭락세를 나타냈다. 이는 팬데믹 셧다운이 있었던 2020년 봄에 이어 역사상 두 번째로 가파른 기업심리 폭락세다.
국채금리는 상승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5bp 오른 4.329%로 마감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1.4pb 오른 3.80%를 기록했다.
달러는 2거래일 연속 99pt 초반으로 밀렸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전일비 0.17 오른 99.44를 가리켰다.
국제유가 역시 관세 협상 진전 기대감에 급등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2.21달러(3.54%) 오른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6월물 브렌트유도 역시 2.11달러(3.20%) 뛴 배럴당 67.96달러로 집계됐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60% 내린 7285.86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00% 오른 8275.66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49% 밀린 2만1205.86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63% 떨어진 4935.34를 기록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위원회에서 정책금리인 예치금 금리를 2.25%로 25bp 내렸다. 이는 22년 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라가르드 ECB 총재는 대내적으로 고조된 글로벌 무역긴장과 그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유로존 성장을 낮출 것이라 전망하며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