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연구기관·학계·시장참여자 등 관계자들과 함께 제1차 '자본시장전략포럼'을 개최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금융위원회가 정부의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추진할 정책들을 의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8일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연구기관·학계·시장참여자 등 관계자들과 함께 제1차 '자본시장전략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아울러 중장기 관점에서 자본시장 분야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경제·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시장안정을 확고히 유지하는 동시에 대내외 투자자 신뢰 제고를 위한 자본시장 선진화 노력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그간 △공정 투명한 시장질서 확립 △국내외 투자자 시장접근성 제고 △주주가치 기업경영 확립이라는 3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을 다각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지난해 5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상장기업의 약 5.1%에 해당하는 총 131개사가 밸류업 공시에 참여 중이다.
또 지난 1년간 자사주 매입이 22조8800억원에 이르고 자사주 소각이 19조5900억원, 현금배당이 48조3500억원에 이르는 등 주주환원 노력도 확대되고 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배, 2.3배, 11% 증가한 수치다.
정부는 올해 자본시장 혁신과 실물경제 지원 강화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이에 따라 증권업 경쟁력 제고 등을 통한 자본시장의 기업금융·모험자본 공급 강화, 조각투자 플랫폼 등 증권의 발행·유통 체계 다양화를 위한 제도개선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나아가 잠재성장률 하락세 완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국민의 안정적 자산소득 확보를 지원하는 '선순환적 자본시장'을 만들어 나가도록 중장기 과제 발굴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자본시장전략포럼을 운영하고 금융위 내 자본시장전략기획과를 신설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오는 5월 중 제2차 자본시장전략 포럼를 열고 추가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