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잇따라 발생한 화재 사고로 인해 전기차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정부가 전기차 화재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과충전'을 막기 위해 내년부터 예방 기능이 탑재된 충전기만 보급하기로 했다.
지난 28일 환경부가 공개한 내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에는 전력선통신(PLC) 모뎀이 장착된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만 새로 설치된다.
PLC 모뎀이 장착된 충전기는 전기차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받아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급속충전기는 대부분 PLC 모뎀이 장착돼있지만, 완속충전기는 최근에서야 모뎀이 장착된 모델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서울 시내 한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 중인 전기차들. ⓒ 연합뉴스
환경부는 내년에 전기차 완속충전기 7만1000기와 급속충전기 4000기를 새로 보급할 방침이다. 특히 완속충전기를 전부 스마트 제어 충전기로 설치할 예정이다. 일반 완속충전기 구축사업은 종료한다.
또 총 4만기로 추산되는 설치한 지 5년 이상 된 완속충전기 중 절반(2만기)을 내년에 스마트 제어 충전기로 교체하기로 했다.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등 최근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면서 다수 전기차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과충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현재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총 36만3000여기다. 이 가운데 완속충전기는 32만여기다.
한편 2025년도 환경부 예산안 규모는 올해 대비 4% 늘어난 13조94억원으로 책정됐다. 충전기 설치를 비롯해 무공해차 보급에 편성된 예산은 총 3조1915억원으로, 올해보다 4.5%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