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배정철 이야기] HD현대·한화에어로스페이스·두산에너빌리티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4.07.12 15:10:30
[프라임경제] '배정철'이 우리나라 경제를 묵묵히 이끌고 있다. 과연 배정철이 누구 길래…. 사실 배정철은 사람이 아니다. 그저 △배터리 △정유·화학 △철강·중공업의 앞 글자에서 따왔다. 근대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 발전은 제조업, 즉 배정철이 이끌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만큼 배정철은 한국 위상을 끌어올린 일등공신이다. 그리고 지금도 지구 반대편 어딘가에서 수없이 러브콜을 받고 있다. 글로벌 산업 패러다임을 요동치게 하는 오늘의 배정철 소식을 알아보자. 

오늘의 배정철 이야기 주인공 △HD현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두산에너빌리티.
 
◆HD현대, 인구의 날 기념식서 대통령 표창 수상

HD현대(267250)는 지난 11일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제13회 인구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대통령 표창은 단체 포상 중 가장 훈격이 높은 상이다.

보건복지부는 매년 저출산 극복, 고령화 대응에 뛰어난 공적을 거둔 개인 및 기관 등에 인구의 날 포상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일반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후보자 공개 검증과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공적심사위원회 등을 거쳐 포상자가 선정됐다.

HD현대는 △임신·출산·육아 관련 다양한 지원책 시행 △유연근무 적극 활용 △13개 계열사 가족친화기업 인증 획득 등 모범적인 일-생활 균형 문화를 조성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HD현대는 그동안 임직원들의 양육 부담 해소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가족친화 제도를 꾸준히 시행해왔다.

HD현대가 지난 11일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제13회 '인구의 날' 기념행사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 HD현대

임신 초기와 말기, 전면 재택근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법정 출산휴가 외에도 별도의 유급 출산휴가를 1개월 더 부여하고 있다. 또 임직원들이 최장 밤 10시까지 마음 놓고 자녀를 맡길 수 있도록 직장어린이집 '드림보트'를 운영하고 있다. 만 6세 이상 8세 이하 자녀를 둔 임직원을 위해 법정 육아휴직과 별개로 최대 6개월의 '자녀돌봄휴직'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HD현대는 임직원들의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교육비·양육비 지원 역시 확대했다. 지난해부터는 자녀 수 제한 없이 초등학교 입학 전 3년간 매년 600만원씩 최대 1800만원을 지원하고 있고, 여성 임직원이 임신·출산할 때마다 각각 500만원씩, 총 1000만 원의 축하금도 지급한다.

뿐만 아니라 전 계열사에 유연근무제를 적용,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해 자녀의 유치원 하원 등을 도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개인별로 설정한 업무시간이 종료되면 PC가 10분 후 자동으로 종료되도록 하는 등 직원들의 일-생활 균형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HD현대는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사이트솔루션 △HD현대오일뱅크 등 그룹 내 주요 계열사 13개사가 여성가족부로부터 '가족친화인증'을 획득하기도 했다.

HD현대 관계자는 "직원들의 일-생활 균형을 위해 시행해온 다양한 노력이 이번 수상으로 인정받았다"며 "가족친화적인 제도가 기업의 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항공우주 협력사와 '상생협약'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지난 10일 경남도청에서 경상남도와 고용노동부, 경남지역의 항공우주 기업들과 함께 '경남 항공우주제조업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상생협약식'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박완수 경상남도 도지사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윤종호 한국항공우주산업 부사장 △방남석 삼우금속공업 대표 등 약 50명이 참석했다.  

지난 10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오른쪽 세 번째), 박완수 경남도지사,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등이 '항공우주제조산업 상생협약식'을 진행했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번 협약은 경남지역 항공우주업체들의 신규 및 숙련 인력의 원활한 확보와 정주여건 개선, 복지 증진 등을 위한 목적으로 체결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산업 등 원청사는 △협력사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채용 박람회 지원 △신규 인력 교육 프로그램 및 공동훈련센터 운영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협력사는 장기 숙련 기술자 대상의 인센티브 지원과 채용 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월에 열린 '항공우주제조업 공동선언식' 이후 매월 협력사 및 유관 기관과의 실무 협의를 통해 협력사 인재 유입과 인력 양성방안, 경영 안정화를 논의해왔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중소협력사의 경쟁력 강화는 건전한 제조 생태계를 위한 우리 모두의 과제다"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항공제조 협력사의 역량 강화을 위해 정부 정책과 함께 시너지가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 제주도와 풍력·수소 청정에너지 협력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와 풍력·수소 등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확대에 나선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제주도와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제주 탄소중립 비전 실현에 관한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측은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협력하고, 에너지 분야 지역인재 교육지원을 통해 일자리 기회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양성 △고용 창출 △해상풍력 장기 환경 모니터링 △수소 생태계 활성화 △폐블레이드 업사이클링 등 환경성 강화의 5개 분야에 대해 적극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 도지사(왼쪽)와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이 12일 제주도청 백록홀에서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제주 탄소중립 비전 실현에 관한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은 "무탄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한 두산에너빌리티는 제주도의 탄소중립 비전 실현에 있어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이다"라며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풍력, 수소 등 청정에너지에 대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한민국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제주 탐라해상풍력을 지난 2017년 준공했다. 2021년 한국전력기술과 100㎿ 규모의 제주한림해상풍력 기자재 공급계약을 체결해 5.5㎿급 해상풍력발전기 18기를 공급해 준공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에는 제주에너지공사를 비롯한 9개 기업·기관과 국책과제로 참여한 풍력발전 연계형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를 준공했다. 오는 11월 제주도에 풍력발전 통합관제센터와 풍력정비 교육훈련 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