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화솔루션(009830)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은 미국에서 총 규모 257㎿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개발(Develop)하고 공사에 착수한다고 11일 밝혔다.
최근까지 개발 작업을 수행해온 한화큐셀은 지난 10일(현지시각) 전력 수요처(off-taker)인 플래트 리버 전력청(Platte River Power Authority·PRPA)과 착공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발전소 건설에 돌입했다. 한화큐셀은 프로젝트의 설계·조달·시공(EPC)도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 콜로라도 주 웰드(Weld) 카운티에서 축구장 790개 크기에 맞먹는 약 1400에이커(약 5.6㎢) 규모의 부지에 54만개 이상의 모듈을 공급하고 태양광 발전소를 개발 및 건설하는 사업이다. 발전소는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상업운전을 시작해 PRPA와 맺은 PPA(전력 공급계약)에 따라 재생에너지 전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화큐셀이 미국 콜로라도 주에서 건설 중인 태양광 발전사업 부지. ⓒ 한화큐셀
최근 한화큐셀은 미국에서 연달아 대형 그린에너지 프로젝트의 개발·EPC를 수행하며 다양한 다운스트림 사업 기회를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지난 5월 50㎿ 규모의 태양광 모듈과 200㎿h 용량의 ESS(에너지저장장치)로 이뤄진 프로젝트의 건설을 완료하며 재생에너지 솔루션 공급 기업으로서의 역량을 증명한 바 있다. 이 발전소는 현재 미국 빅테크 기업인 메타(Meta)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같은해 4월에는 와이오밍 주에서 150㎿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의 개발·모듈 공급·EPC를 모두 수행한 끝에 완공했다.
이구영 한화큐셀 대표이사는 "이번 프로젝트로 한화큐셀은 미국 내 태양광 신재생 사업 포트폴리오에 개발 및 EPC를 접목한 다양한 사업 기회를 추가하게 됐다"면서 "한화큐셀은 향후 성공적인 공사 수행은 물론 자산 매각 등 다양한 선택지를 면밀히 검토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화큐셀은 글로벌 산업계의 재생에너지 수요 및 미국산 태양광 제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고객과의 협력을 확장하고 있다. 한화큐셀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1월 체결했던 모듈 공급 및 EPC 협약의 규모를 2.5GW에서 12GW로 확대해 파트너십을 올해 1월 다시 맺은 바 있다.
또 미국 상업용 태양광 개발사인 서밋 릿지 에너지(SRE)와 작년 4월 체결한 파트너십의 규모와 범위를 넓혀 총 2GW 모듈을 공급하고 ESS 조달 및 EMS(에너지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다시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