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미국이 전기차, 철강 등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결정하면서 안 그래도 엔저, 글로벌 공급 과잉 등으로 힘든 국내 철강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현재 철강업계는 △중국의 철강 수출 증가 △미국·중남미 등 주요국의 관세 장벽 강화 △엔저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국은 자국의 건설경기 침체로 국내 철강 수요가 감소하자 잉여 물량을 저가로 수출 시장에 내놔 글로벌 공급 과잉을 불러일으켰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철강 수출은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은 최근 무역법 301조에 따라 중국산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현행 7.5%에서 25%로 인상하기로 하는 등 관세 장벽을 높이는 상황이다.
이에 앞서 중남미 칠레도 중국산 철강 때문에 자국 업계가 조업 중단 등 어려움에 부닥치자, 중국산에 최대 3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와 브라질도 최근 중국산 철강에 대한 관세율 인상을 결정했다.
한국도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저가의 중국산 철강 공습에 엔저를 등에 업고 경쟁력을 갖춘 일본산 철강 공세에 맥을 못 추고 있는 상태다.
이에 정부는 최근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기업 7곳, 한국철강협회와 함께 '철강 수출입 현안 점검회의'를 열었다. 정부와 철강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현장 의견을 공유하고, 중국산 철강재 공세에 맞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이 국내 시장 질서를 교란하고 있다는 데 공감하면서, 이를 문제 삼아 반덤핑 제소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정부는 국내 철강 산업에 영향을 미칠 통상 이슈에 대해서는 주요국과 대화를 통해 적극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 외국 철강사들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