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中 흑연 제재 유예' 한숨 돌린 한국 배터리, 美 대선 변수

정부 '9조7000억원' 정책금융 지원…핵심 광물 공급망 '탈중국' 속도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4.05.14 10:07:26
[프라임경제]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파장 때문에 한숨을 쉬던 국내 배터리업계가 최근 미국의 중국산 흑연 제재 유예 결정으로 안도하는 모습이다. 다만 미국 대통령 선거가 변수로 남았다.

최근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 조항과 해외우려기관(FEOC)에 대한 최종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확정안 내용에 따르면 배터리에 사용된 흑연에 대해 외국우려기관에서 조달하더라도 2026년 말까지 문제 삼지 않기로 했다. 흑연은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의 주 원료로 충전 속도와 수명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다. 

사실상 미국이 중국 기업을 겨냥한 것인데, 앞으로 2년간 중국산 흑연으로 만든 배터리를 허용한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국내 배터리업계는 일단 고비를 넘기게 됐다. 그러나 공급망 다변화는 숙제로 남았고, 미국 대선이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국내 배터리업계의 중국산 의존도는 상당한 수준이다. 최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전 세계 음극재 생산량의 96%를 중국이 차지할 정도로 음극재 공급망에 대해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한국의 지난해 흑연 중국 수입 의존도 역시 90%에 달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파우치형 셀투팩(CTP)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 목업(Mock-up). = 조택영 기자


지난 2022년 IRA 시행 이후 △LG에너지솔루션(373220) △삼성SDI(006400) △SK온은 배터리 광물 공급망 다변화에 힘을 쏟았지만, 흑연의 경우 유독 중국산 비중이 커 빠른 탈중국이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배터리 3사는 이번 미국의 결정으로 중국산 흑연이 허용되는 2년 동안 해외 기업과 손잡고 중국 외 세계 각지에서 흑연을 안정적으로 조달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실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앞으로 미국, 유럽연합(EU) 등 배터리 산업 권역별 요구에 맞춰 흑연 공급망 다변화 노력에 박차를 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오는 11월 치러질 미국 대선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 유세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임기 첫날 전기차 보조금 지원 명령 폐기에 서명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대선 이후 전기차 지원 정책의 큰 틀이 바뀌지 않을 가능성도 있지만, 국내 배터리업계가 미국에 막대한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만약의 상황까지도 대비해야 하는 형국이다.

최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은 우리 정부에 미국 대선 이후에도 안정적일 수 있도록 지원 요청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중국 공급망 탈피에 9조7000억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8일 열린 미국 IRA 관련 민관합동회의에서 "한국 배터리·자동차 업계 간, 그리고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관의 노력으로 2년이라는 귀중한 시간을 벌었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핵심 광물 공급망 다변화 및 안정적 관리는 여전히 우리 기업이 이뤄내야 할 중대한 과제다"라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