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HD현대중공업(329180) 노사가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한도를 넘어서는 '노조 전임자'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앞두고 노사가 벌써부터 신경전을 벌이는 모습이다.
노조 전임자 문제는 지난 2010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고시 후 고용노동부가 조합원 수에 따라 노조 유급 전임자 수를 정하면서 생겼다.
HD현대중공업 노조 조합원 수는 6670명이라, '5000~9999명 구간'에 해당해 근로시간 면제 한도 2만2000시간을 부여받는다. 이에 따른 유급 노조 전임자 수는 11명이다.
그러나 현재 HD현대중공업 노조 전임자 수는 40명에 달한다. 사측에 근로행위를 제공하지 않고, 노조 업무에만 전담하면서 임금을 지급받는 이들이 법적 허용치보다 29명이 더 많은 셈이다.
이 때문에 HD현대중공업은 타임오프제에서 허용하는 한도를 초과하는 29명의 노조 전임자들에 대해 현장 복귀를 명령했다. 하지만 이를 거부한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의 강경 투쟁을 예고하며 맞서는 상태다.
최근 노조는 소식지를 통해 "현재 전임자가 40명인데, 11명으로 노조를 운영하라고 하는 것은 억지에 불과하다"며 "단체교섭 시작을 목전에 두고 있는 상황인데, 끝장 투쟁을 결심하고 있다"고 했다.
노조는 또 다른 업계 선례 등을 근거로 회사가 전임자들에게 월급을 직접 주는 방식이 아닌 명목상 기금 등을 만들어 우회적으로 지급하는 방식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사측은 사실상 노조 요구 거부를 공식화했다. 편법 소지가 있고, 타임오프제 불이행 시 사측이 제재를 받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노사의 올해 임단협 교섭도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관계 법령과 고용노동부 시정지시에 따라 근로시간면제제도를 원칙적으로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