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사고 원천차단" 정부·조선업계 '안전보건 협의체' 구성

노동부·8개 조선사·안전공단 '조선업 안전문화 확산 업무협약' 체결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4.04.23 15:34:26
[프라임경제] 정부와 조선업계가 '안전보건 협의체'를 구성했다. 최근 호황을 맞이한 조선업에서 신규 인력 유입과 작업량 증가로 중대재해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어서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2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안전보건공단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HD현대중공업 △HJ중공업 △대선조선 △삼성중공업 △케이조선 △한화오션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조선업 안전문화 확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최근 조선업은 수주량 회복으로 호황을 맞이하고 있지만, 신규 인력이 다수 유입되고 작업량이 증가하면서 중대재해 발생 위험이 커지는 상태다. 특히 대표적인 위험업종인 조선업은 노사가 함께 위험을 스스로 찾고 개선하는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이에 따라 8개 조선사와 정부는 민·관 합동으로 전국 조선업 현장에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 고용노동부

협약에 따라 조선사들과 노동부, 안전공단이 참여하는 안전보건 협의체가 구성된다. 협의체를 중심으로 협업 방안을 논의하고, 조선사 합동 점검이 이뤄진다.

또 주요 위험 요인에 안전 메시지를 부착하는 '위험표지판 부착 캠페인'을 벌여 누구나 안전수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고소 작업 시 안전대·안전고리 착용, 중장비·화물차 작업반경 내 접근금지 등 조선업 10대 주요 안전 수칙을 전파하고 조선사 간 안전교육 협력도 강화한다.

특히 지난해 1~3분기 조선업 신규 채용자 중 86%가 외국인 노동자라는 점을 고려, 최대 25가지 언어로 번역된 안전교육 자료 17종이 공유·지원된다.

이정식 노동부 장관은 "제조업과 건설업의 위험 요인이 공존해 안전관리 난도가 매우 높은 조선업의 사고사망 만인율(노동자 1만명당 산업재해 사망자 수)은 0.86으로 통상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가 나타나고 있다"며 "8개 조선사들이 협약을 바탕으로 중대재해라는 큰 파도를 막아주는 방파제를 함께 쌓아나가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를 비롯해 조선사 간에도 안전을 위한 많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