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사상 최대' 삼성SDI, 작년 매출 22조7083억원

영업이익 '1조6334억원' 전년비 9.7% 감소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4.01.30 13:36:52
[프라임경제] 삼성SDI(006400)는 연결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1조6334억원으로 전년 대비 9.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22조7083억원으로 전년 대비 12.8% 증가했다. 사상 최대 매출 실적이다.

지난 2022년 최초로 연간 매출 20조원을 넘어선 데 이어, 작년에는 전년에 비해 매출이 2조5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연간 순이익은 2조660억원으로 1.3%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31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5% 줄었다. 4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5조5648억원과 4933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실적을 사업부별로 살펴보면, 전지 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0%, 전 분기 대비 45.1% 감소한 2261억원에 그쳤다. 매출은 4조9983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전 분기 대비 6.4% 감소했다.

자동차 전지의 경우 매출은 전년 대비 4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93% 늘었다. 중대형 전지 매출은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는 전력용 판매 감소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다.

소형 전지는 △전동공구 △마이크로 모빌리티 △IT 제품 등의 수요 회복이 지연되면서 시장 재고가 증가하며 부진했다.

ⓒ 삼성SDI


전지 재료 부문의 매출은 56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 전 분기 대비 6.9%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8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0% 감소했으나, 전 분기와 비교하면 소폭(1.6%) 개선됐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의 신규 플랫폼 양산으로 매출이 확대됐고, 반도체 소재는 시장 수요 회복과 신제품 진입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과 수익성이 증가했다. 반면 편광필름은 수요 둔화로 매출이 감소했다.

올해 자동차 전지 시장은 전년 대비 약 18% 성장한 1848억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삼성SDI는 올해 1분기 고용량 프리미엄 배터리 P6 제품의 양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P5와 P6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를 통해 매출과 수익성을 제고하고, 신규 플랫폼 수주와 미국 신규 거점 가동을 차질 없이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ESS 전지는 에너지밀도와 안전성을 강화한 일체형 ESS 시스템인 '삼성 배터리 박스(SBB)' 판매를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ESS 전지 시장은 256억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8%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SBB 등 신제품을 활용한 신규 수주를 확대하고, 시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리튬인산철(LFP) 제품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원형 전지는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동서남아 시장 등 신규 고객 확보를 추진하고, 46파이 전지의 샘플 공급과 신규 수주 활동도 이어나갈 방침이다. 파우치형 전지는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효과로 1분기 매출이 증가할 전망이다.

전자재료 부문은 1분기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감소가 예상되지만, 반도체 소재의 경우 전방 수요 회복, 신제품 판매 확대 등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

삼성SDI는 올해 고부가가치 제품 공급을 확대, 고객 다변화와 고기능성 신제품 소재의 적기 진입으로 매출을 늘리고 수익성을 향상시킨다는 전략이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해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주력 사업인 전기차용 전지의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미래 기반도 확보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며 "올해에는 '초격차 기술 경쟁력, Cost 혁신, 신규고객 확대' 등을 바탕으로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