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오전 부산 야5당과 시민사회단체가 하나되어 강성희 국회의원 장제퇴장 사건을 강력하게 규탄했다. ⓒ 박비주안 기자
[프라임경제] 진보당,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녹색당, 노동당 등 야 5당과 부산 시민사회단체의 원로들이 전일 벌어진 진보당 강성희 국회의원 강제퇴장 사건을 규탄하며 한 자리에 섰다.
부산 야5당과 시민사회단체는 19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공식사과", "경호실장 파면", "폭력행사 경호원 처벌" 등의 구호를 외치며 강력하게 대응을 예고했다.
진보당 부산시당 노정현 위원장은 "날선 비판도 아닌 '대통령님 이러시면 안 됩니다. 국정 기조를 바꾸셔야 합니다' 라는 국민의 절절한 마음을 담은 호소 한 마디에 대한민국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의 입이 틀어막히고 사지가 들려 행사장 밖으로 쫒겨났다"면서 "보고 또 봐도 충격적인 사건으로 이 사건은 단순 폭력의 문제가 아닌, 윤석열 독재가 국민들의 정당한 비판에 재갈을 물리고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내동댕이 친 사건"이라고 표명했다.
이어 "국민들의 삶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정권 연장에만 혈안이 되어 있는 정권, 정당한 비판을 폭력으로 제압하는 정권을 우리는 독재 정권이라 불러왔다"면서 "윤석열 독재에 맞서 총단결합시다. 민주 진보세력과 시민사회가 한몸처럼 떨쳐나서 기필코 탄핵의 봄을 열어내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대발언으로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과 정의당 부산시당, 녹색당 부산시당이 함께했다. 이들은 "강성희 의원 강제퇴장 사건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하며, 이 문제에 대해서 책임 있는 사과와 문책을 받아낼 것임을 약속드린다"라고 입을 모았다.
차성환 정권심판 총선 대응 부산시민회의 공동대표가 시민단체를 대표해 목소리를 냈다. 그는 "과거 독재 정권들도 국회를 짓밟고 국회의원을 탄압한 사건들이 있었지만, 그때는 밀실에서 이뤄졌는데, 지금은 대통령에게 직언 한 마디 했다고 전 국민들이 다 지켜보는 상황에서 국회의원을 저렇게 끌고가는 시대"라며 "이 장면은 대한민국 역사상 한번도 본 적 없는 장면인데다, 이 정권은 국회의원도 저런 취급을 하는데 일반 국민들은 어떻게 대할지 얼마나 명확하게 보여주는 장면인가"라며 규탄했다.
부산 야5당은 이번 사태에 대해서 범진보연합을 꾸려 공동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부산지역 야5당 대표들이 '이것이 독재다'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 박비주안 기자
붓기자회견 이후에는 강성희 국회의원 강제 퇴장 때의 사진에 '이것이 독재다' 스티커를 붙이는 퍼포먼스를 보이며 강력하게 대응할 것임을 알렸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배다지 겨레의 길 상임의장, 하상윤 민족광장 공동대표 등 시민사회 원로들까지 함께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