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공립유치원 학급수 감축 중단 기자회견을 열었던 전교조 부산지부. ⓒ 전교조 부산지부
[프라임경제] 전교조 부산지부가 공립유치원 학급 수 감축 중단을 재차 촉구했다. 지난해 12월28일 부산시교육청에서 '공립유치원 학급수 감축 즉각 중단 요구 기자회견'에 이어 12일 오후 다시 성명문을 내고 공립유치원 감축을 중단하라고 다시 밝혔다.
전교조는 "지난 12월 부산교육청은 2024년 유아모집 결과 학급당 유아 수가 5명 미만인 공립유치원 수십 곳에 학급 수 감축의 가능성을 전화로 통보했다"면서 "교육청의 유치원교사 인사 관련 간담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에 30~50여 개의 공립유치원 학급이 없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24년도 신규 교사를 포함 최대 73명의 교사가 담임을 맡을 학급을 찾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교조는 이어 "1월4일 부산교육청 기자 간담회에서 교육청은 '단 한 명의 학생도 놓치지 않는 부산형 교육·돌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단 한 명의 학생도 놓치지 않는 부산형 교육에 유아교육이 설 자리는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교육청을 향해 질타했다.

지역별 유치원 학급 정원이 높은 부산광역시 정원 기준. ⓒ 전교조 부산지부
전교조 부산지부가 공립유치원 학급수 감축에 중단을 요청하는 이유로 교육청이 학급수 감축의 기준으로 제시한 유치원 학급 정원 기준은 지역마다 다름에도, 특히 부산의 유치원 학급 정원 기준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높다는 점을 꼽았다.
전교조는 "6개 광역시 단위와 인근 경남을 비교했을 때, 학급최소정원, 만3·4·5세 정원 중 부산은 만3세 정원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의 학급 정원 기준이 가장 높다"면서 "서울, 대전, 경남의 만4세 정원이 18명인데 비해 부산은 22(~24)명이며, 서울, 광주의 만5세 정원이 20명인데 비해 부산은 24(~26)명이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부산교육청은 유치원 학급당 정원 기준을 유아발달특성과 안전 보장, 질적 교육에 적합하도록 대폭 감축해야한다"면서 "충북 인천과 같이 1명의 유아만 있어도 학급을 유지하여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고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교조 부산지부는 '한 명의 학생도 놓치지 않는 교육'을 위해 △출생률 감소에 따라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를 위해 학급당 유아 정원을 14명 이하로 감축하라 △단 한 명의 유아라도 취원하고자 한다면 공립유치원의 학급을 개설하라 △공립유치원 업무경감 및 효율적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과원 교사를 전담교사로 배치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