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中 흑연 수출 통제 시작' 대응 나선 정부

민관 합동 공급망 점검회의…배터리 기업들 "3~5개월분 재고 확보"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3.12.01 10:15:50
[프라임경제] 중국이 1일부터 흑연 수출 통제를 시행하는 가운데, 정부·배터리 업계가 수급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30일 서울 대한상의에서 민관 합동 흑연 공급망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와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와 포스코퓨처엠 등 기업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공급망센터 △한국광해광업공단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흑연이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로 음극재 생산에 중요한 만큼, 흑연 공급망 확보를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중국 정부는 군사 용도 전용을 막겠다는 명분으로 지난 10월20일 수출 통제 대상 품목에 이차전지 음극재용 고순도 천연흑연 등을 추가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 흑연 수출 통제 조정 내용을 발표했다. 인조흑연의 경우 이번 조치 발표 전부터 수출 통제 대상이었다.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이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민관 합동 흑연 공급망 점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에 따르면 한국은 이차전지 음극재용 인조흑연과 천연흑연을 지난해 기준 2억4100만달러가량 수입했다. 이 가운데 93.7%가 중국에서 들여왔다.

정부는 중국 정부의 흑연 수출 통제 시행 계획 발표 이후, 흑연 수급 대응 전담반을 꾸려 관련 동향을 점검하고 업계와 함께 대책을 준비해왔다.

정부는 지난 14일 한중 상무장관 회담을 비롯, 그동안 한중 당국 간 여러 접촉을 통해 중국의 새 수출 통제가 세계 배터리 공급망에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투명한 수출 통제 집행을 촉구하기도 했다.

업계도 수출 통제 시행 전 흑연 추가 물량을 확보해둔 상태다. 업체별로 3~5개월분의 재고를 확보했으며 공급망 다변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앞선 갈륨·게르마늄 (수출 통제) 사례로 볼 때 다소 기간은 걸리더라도 흑연 수급에 특별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정부는 만일의 상황까지도 염두에 두고 흑연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의 대응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