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탈탄소 맞췄는데..." 전기료 인상에 한숨 커진 철강업계

'전기로' 늘리자 '전기료' 역풍…"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 인하 포함 지원책 필요"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3.11.14 14:34:42
[프라임경제] 정부가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산업용 전기료에 대한 인상 카드를 꺼내면서 철강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에 맞춰 큰 비용을 들여 전기로 도입을 늘렸는데, 전기료 인상으로 부담이 커진 탓이다.

통상 전기요금이 ㎾h당 1원 오를 때마다 철강사들의 원가 부담은 연간 2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경기 침체, 글로벌 철강 수요 감소에 전기요금 상승까지 겹치면서 수익 악화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과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은 지난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4분기 전기요금 인상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9일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평균 ㎾h당 10.6원 인상됐다.

주택용과 소상공인 등이 쓰는 일반용 전기요금은 이번 인상에서 제외됐다. 일반용 전기요금을 동결 또는 인하하고 산업용 전기요금만 올린 것은 2008년 이후 15년 만이다.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자 서민경제에 미칠 부담을 고려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현대제철 △동국제강 △포스코 등 주요 철강사들은 진퇴양난에 빠진 모습이다.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에 맞춰 전기로 도입을 늘리던 상태였기 때문이다. 탈탄소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전기로를 늘렸더니 전기료 인상이라는 역풍을 맞은 셈이다.

전기로 생산 비중이 절반에 달하는 현대제철은 연간 전기 1만GW를 사용하는데, 이번 전기료 인상에 따라 연간 수백억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 현대제철


지난해 6000~7000억원의 전기 요금을 납부했는데, 올해의 경우 상하반기에 걸쳐 전기료가 인상된 만큼 전년 대비 30~40% 이상 납부금액이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2827억원의 전기 요금을 납부한 동국제강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동국제강도 전년 대비 20~30% 납부금액이 증가할 전망이다.

포스코는 현재 포항에 전기로 2기를 가동 중인데, 포항과 광양에 각각 250만톤 전기로를 오는 2027년까지 설치한다는 계획을 밝힌 상태다.

산업용 전기요금은 올해 1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오른 바 있다. 지난해에는 세 차례나 요금을 올렸다. 철강사들은 탈탄소 기조에 맞춰 친환경 설비를 늘려온 것이 실적 하락의 주범이 됐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그렇다고 제품 가격 인상으로 대응하기도 쉽지 않다. 철강 제품 가격은 아시아를 비롯해 글로벌 가격이 묶여 움직이는 탓에 한국만 가격을 올릴 경우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어 전 세계에서 팔리지 않는 모습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철강사들이 전기로 도입을 더 이상 늘리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는 형국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상으로 원가 부담이 더 커지게 됐다"면서 "탄소중립이 과업이긴 하지만,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철강사들이 전기로를 늘리는 게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철강 업황도 좋지 않은 상태다"라며 "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 인하 등 지원책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