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 갈등으로 창사 55년 만에 파업 위기에 놓였던 포스코가 최근 노사 간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면서 한시름 덜게 됐지만, 마지막 관문인 찬반투표를 두고 긴장하는 모습이다. 일부 노조원들의 반응이 싸늘해서다.
지난달 31일 포스코 노사는 17시간에 걸친 회의 끝에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그러나 노조는 잠정합의안을 두고 내홍에 휩싸였다.
앞선 쟁의행위에 대한 찬반투표에서 찬성률 75%라는 압도적인 숫자로 노조에 쟁의권을 쥐여줬으나, 실망스러운 합의안을 가져왔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잠정합의안의 골자는 △기본임금(Base-Up) 10만원 인상(자연상승분 포함 17만원 수준) △주식 400만원 지급 △일시금(비상경영 동참 격려금) 250만원 △지역상품권 50만원 △격주 4일 근무제도 도입 △경영성과금제도·직무급제 도입·복리후생 재설계를 위한 TF구성 등이다.
그러나 노조 측이 그동안 강하게 요구해 왔던 △자사주 100주 지급 △기본급 13.1% 인상 △격주 주4일제 도입 등과 괴리감이 있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일부 노조원들은 포스코보다 임금이 낮았던 한국철강의 1인당 평균 연봉이 1억2100만원이라는 점도 내세우고 있다. 업무 강도 대비 지난 5년간 임금 인상률은 평균 2.1%로 물가상승률을 하회하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포스코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800만원이다.
이에 따라 일부 노조원들 사이에서 쟁의권을 이용해 총파업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다.
김성호 포스코노조 쟁의대책위원회 의장은 "소신 있게, 압박과 회유를 무시하고 생각하는 대로 투표해 주길 바란다"며 "선택에 따른 모든 책임은 제가 지고 가장 먼저 앞장서겠으며, 쟁의대책위는 모든 시나리오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업황 부진 등 철강업계의 상황이 좋지 않은 상태다"라며 "마지막까지 잘 마무리하지 않으면 더 큰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어려운 회사 여건에도 불구하고 임단협 교섭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예년 대비 높은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면서 "잠정합의안 조합원 투표 절차까지 원만하게 마무리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 노조는 오는 9일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해 잠정합의안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 과반수가 찬성하면, 포스코 노사는 올해 임단협 교섭을 최종 타결하게 된다. 그러나 잠정합의안이 부결되면 노조는 단계별로 체계적인 쟁의행위를 전개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