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오이솔루션, '16.6조원 시장' 정조준…400G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 공개

"데이터센터 인터커넥션과 텔레톰 시장에서의 매출 확대 기대"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3.10.12 11:01:43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 모듈인 400G CFP2 DCO. ⓒ 오이솔루션


[프라임경제] 광트랜시버 전문 기업 오이솔루션(138080)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유럽 최대 광통신 컨퍼런스 'ECOC 2023'에서 데이터센터 인터커넥션(DCI)와 텔레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 모듈인 400G CFP2 DCO를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400G CFP2 DCO는 C 밴드 DWDM 응용을 위해서 어븀 도핑 광섬유 광증폭기와 가변형 광필터를 갖추고 있다. 

광트랜시버는 광통신 장치에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부품이다. 특별히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는 코히어런트 검출방식을 이용하여 광통신 개념을 바꾼 것으로 광의 기본적인 성질인 위상과 편광을 조절해 전송용량을 증가시키면서 전송거리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소개한 400G CFP2 DCO는 최대 +3dBm까지 조정 가능한 광증폭기와 선택적 필터링 기능을 갖춘 400G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로, 기존에 보편적으로 사용 중인 10G급 DWDM 광전송 네트워크에 대해서 400G급 DWDM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용량을 최대 40배까지 늘릴 수 있다. 

기존의 100G급 광트랜시버는 2단 변조(NRZ)이나 4단 고차변조 (PAM-4)등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변조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색분산에 따른 전송거리가 25G급 C-band에서 15Km로 제한된다. 

하지만 코히어런트 검출방식을 이용한 광트랜시버는 광통신 개념을 바꾼 것으로 광의 기본적인 성질인 위상과 편광을 조절해 전송용량을 증가시키면서 전송거래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이다.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는 100G급 이상의 전송망에서 표준이며, 그 이상의 속도에서는 유일한 대안으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인터커넥션과 텔레콤 네트워크 텔레콤 네트워크에 핵심소자로 손쉬운 초기 적용과 향후 수요 증가에 따른 업그레이드를 제공하여 시장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원기 오이솔루션 광트랜시버 사업부 부사장은 "데이터센터 시장과 텔레콤 시장은 초고속 첨단광통신 기술이 필요하고 기술적 장벽이 높기 때문에 국내기업의 진출이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번에 데이터센터 인터콘넥션과 텔레콤 시장에 적합한 400G급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를 추가해 글로벌 데이터 센터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선도기업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또한 "오이솔루션은 400G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 후속으로 내년에는 800G급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를 추가할 계획"이라며 "AI 데이터 센터의 수요 확대에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크고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인터커넥션과 텔레콤 시장에서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오이솔루션은 올해 4분기 400G CFP2 DCO 및 400G QSFP-DD DCO 광트랜시버 샘플을 공급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대량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한편 광트랜시버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라이트카운팅(Lightcounting)에 의하면 400Gbps급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 시장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24억1600만달러(약 16조6362억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