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근무 중인 트레이더의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밤 뉴욕증시는 9월 비농업 고용이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는 소식으로 인해 초반 하락세를 보였지만 이내 상승세로 돌아섰다.
현지시간으로 6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288.01p(0.87%) 오른 3만3407.58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0.31p(1.18%) 상승한 4308.50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11.51p(1.60%) 뛴 1만3431.34에 장을 마쳤다.
이날 투자자들은 9월 비농업 고용 수치를 주목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9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33만6000명 증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치 였던 17만명의 거의 두 배 수준을 기록했다.
고용 확대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임금 상승을 불러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는 증시 악재로 작용해 왔다. 9월 고용은 지난 12개월 동안의 월평균 고용인 26만7000명도 크게 웃돈다.
고용 급증에도 불구하고 임금 상승세가 예상을 밑돌며 증시에 기대감이 퍼졌다. 지난달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 대비 0.2%, 작년 동월 대비 4.2% 올랐다. 이는 시장의 예측치보다 낮았다. 시장은 각각 0.3% 상승과 4.3% 상승을 예상했다.
국제유가는 하락세를 저지하려는 저가 매수세에 오름세를 나타냈다. 다만 원유 수요 우려로 3월 이후 가장 큰 주간 낙폭을 기록했다.
뉴욕상업거래소(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보다 0.48달러(0.58%) 오른 배럴당 82.7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의 12월 인도분 브렌트유는 전장보다 0.36달러(0.43%) 상승한 배럴당 84.43달러로 마감했다.
이번 한 주간으로 볼 때 WTI는 8.81% 하락했으며, 브렌트유도 약 11% 떨어졌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연말까지 감산을 지속하겠다고 발표했음에도 고금리 환경이 경제 성장을 둔화하고 연료 수요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유럽 증시는 일제히 상승세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4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88% 상승한 7060.15로 거래를 마쳤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 DAX30 지수는 1.06% 오른 1만5229.77로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장 대비 0.58% 뛴 7494.58에 거래를 마쳤다.
한편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1.09% 상승한 4144.43에 거래를 종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