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에 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해 이차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호주와 협력하겠다고 8일 밝혔다.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는 이날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제44차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연례회의'를 개최했다. 한국-호주 경협위의 한국 개최는 지난 2018년 부산에서 열린 이후 5년만이다.
이날 회의에는 양국 산업계 관계자 약 200여명이 참석해 경협위 개최 이래 최대 참석인원을 기록했다.
최정우 회장은 "한국과 호주는 오랜 동반자 관계를 넘어 핵심광물을 비롯해 수소경제 등 새로운 협력분야를 활발히 만들어 나가고 있다"며 "양국은 자원개발부터 원료생산에 이르는 밸류체인 협력과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연구, 국가안보, 친환경소재 등 양국의 주요산업 모든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 함께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정우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장이 8일 서울 JW매리어트에서 열린 제44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연례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 포스코
이번 경협위에서는 '한국-호주 협력을 통한 혁신적 미래 탐색'을 주제로 △연구·산업 협력 △핵심광물 △방위·항공우주 △식품·바이오 △청정에너지(수소) 5개 분야에서 포스코를 비롯한 양국의 기업 및 기관들이 사업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연구·산업 협력 촉진을 주제로 시작한 세션1에서는 한국과학기술평가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기관에서 호주와 연구개발(R&D) 분야 협업 확대와 탈탄소 핵심기술인 CCS(탄소 포집 및 저장) 협업 등 넷제로 전환의 핵심 파트너로서 호주와 협업 방안을 제안했다.
핵심광물을 주제로 하는 세션2에서는 리튬과 희토류 등 이차전지소재 원료의 친환경적인 생산과 글로벌 무역규제에 대비해 골든타임 내에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에너지-청정미래로의 전환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마지막 세션에서는 호주에서 친환경 철강 생산을 위한 그린수소 투자를 시작한 포스코홀딩스, 그린수소 관련 호주 자회사를 설립한 고려아연 등이 수소 중심 청정에너지 분야 기업들의 견고한 협력을 기반으로 양국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내기도 했다.
한편 지난 1979년 첫 회의를 개최한 이래 한국-호주 경협위는 최근 5년간 양국 산업협력 분야에 있어 크게 외연을 확장했다. 특히 2018년 최정우 회장이 경협위 한국 위원장을 맡은 이후 기존 석탄과 LNG 중심의 전통적인 협업관계를 △리튬·이차전지소재 △수소 △그린스틸 △방위산업 등 미래산업으로 점진적 확대를 도모해왔다.
또 최정우 회장은 한국-호주 경협위원장으로서 현지 자원개발의 핵심지역인 서호주 주총리 및 주요 핵심광물 기업 CEO들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협업관계를 구축하며 양국의 경제·산업 협력에 앞장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