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시노펙스, '국내 최초' ePTFE 소재 특수 방진복 개발…3조원 시장 '정조준'

올해 말 10나노 반도체 공정용 필터도 출시 "차기 제품도 준비중"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3.08.25 09:15:12
[프라임경제] 시노펙스(025320)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ePTFE 소재로 특수 방진복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시노펙스가 개발한 ePTFE 특수소재 방진복. ⓒ 시노펙스

ePTFE는 불소계열의 소재로 미국 고어사가 전세계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시노펙스는 2015년 PTFE 국산화 국책과제 주관기업으로 선정돼 수소연료전지용 이오노머를 개발했다.

또한 ePTFE 벤처기업 프론텍 인수를 통해 통기성이 우수한 ePTFE 멤브레인 생산의 기초를 다져왔으며, 반도체용 올테프론필터 개발을 위해 차세대ePTFE 공정을 연구해 왔다.

시노펙스가 이번에 개발한 특수 방진복은 나노급 반도체 생산공정인 클래스(CLASS 1 ~10)급공정용 방진복이다. 반도체 불량의 원인이 되는 초미세먼지포집효율이 99.9%인 고성능 제품이다. 국내산 ePTFE소재로 특수 방진복이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반 MB소재의 방진복은 포집효율이 10% 내외다. 나노급 반도체 생산라인이나 고청정 제약 바이오 산업에서는 수입된 ePTFE소재의 특수 방진복이 사용되고 있다. 

노시갑 시노펙스 부사장은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책과제로 ePTFE소재의 국산화 성공 이후 시노텍스 마스크에 적용해 성능을 입증했다"며 "이번에 해외 수입소재를 대체해 개발한 클래스 1~10급 고성능 ePTFE 방진복에 이은 차기 제품들도 다양하게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시노펙스 ePTFE 생산설비는 자체 설계와 직접 제작한 장비로 소재와 장비를 직접 컨트롤해 고객이 원하는 사양의 맞춤형 ePTFE 원단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시노펙스는 전략제품으로 첨단 나노급 반도체 생산라인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10나노급 ePTFE 필터 제품도 올해 말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시노펙스는 현재 ePTFE 소재를 활용한 △수소연료전지 분리막 △5G 통신용 케이블 △시노텍스 프리미엄 마스크 등 제품을 상용화해 판매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ePTFE특수 방진복은 반도체, OLED, 의료분야, 선박제조 공정 등 산업 전반적으로 사용되며 의류분야 차세대 먹거리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ePTFE는 반도체 생산 공정 외에도 바이오, 제약, 수소연료전지, 고청정 크린룸용울파(ULPA) 필터, 인공혈관, 5G 통신케이블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규모는 연간 약 3조원 이상으로 예상되고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