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달 한국 조선업계 수주량이 경쟁국인 중국에 또다시 크게 밀린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71척으로 1위, 한국은 10척으로 2위를 차지했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276만CGT(표준선 환산톤수·95척)로 전월 대비 2.1%,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했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 운반선. ⓒ 삼성중공업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38만CGT(10척·14%)로 2위를 차지했다. 1위인 중국은 220만CGT(71척·80%)로 한국과 큰 격차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1~6월) 누계 발주는 1781만CGT(678척)로 지난해 같은 기간 2712만CGT 대비 34% 감소했다. 이 시기에 한국은 516만CGT(114척·29%), 중국은 1043만CGT(428척·59%)의 수주 실적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 15% 감소했다.
6월말 전 세계 수주 잔량(남은 건조량)은 전월 대비 7만CGT 증가한 1억1451만CGT였다. 이중 한국은 3880만CGT(34%), 중국은 5315만CGT(46%)를 차지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70.91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9.38포인트 상승했다. 선종별 1척 가격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억6000만달러 △초대형 유조선(VLCC) 1억2600만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 2억2500만달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