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SK온과 포드자동차의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인 블루오벌 SK가 미국 에너지부(DOE)를 통해 12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정책지원자금을 잠정 확보했다. 이들은 이번 대규모 자금 확보를 계기로 미국 내 생산 활동에 있어 더 탄탄한 생산 활동 기반을 갖출 전망이다.
SK온은 블루오벌 SK가 DOE로부터 최대 92억달러(약 11조8000억원) 규모의 정책 자금 차입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금융 지원은 DOE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에 따라 이뤄진다. 자동차와 관련 부품 제조 사업에 대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블루오벌 SK는 이르면 연내 본계약을 체결한다. DOE로부터 배터리 제조 프로젝트와 관련해 역대 최대 규모의 금융 지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번 ATVM 프로그램 차입 금리는 미국 국채 금리 수준으로 적용된다. 본계약 체결 시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 수준의 저리로 차입이 가능해진다.
이는 블루오벌 SK의 생산 능력에 대해 DOE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기에 가능했다는 게 SK온의 설명이다. DOE는 블루오벌 SK 프로젝트가 미국 자동차 시장 전동화와 공급망 강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SK온·포드 합작사인 블루오벌 SK의 켄터키 1공장. ⓒ SK온
블루오벌 SK는 계약을 최종 완료하면 미국 켄터키 1·2 공장과 테네시 등 총 3개의 공장 건설에 확보한 자금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하는 3개 공장은 총 120GWh 이상에 달하는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이는 대당 105KWh 배터리가 들어가는 전기차 기준 약 120만대를 매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SK온은 또 미국 정책자금을 통해 대규모 투자 재원을 확보함에 따라 재무적 안정성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SK온은 지난해 7월 독일 무역보험기관인 오일러 헤르메스,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수출입은행 등 공적수출신용기관(ECA)을 통해 헝가리 3공장 등 유럽 배터리 사업을 위한 투자자금 2조6000억원을 확보한 바 있다.
또 SK이노베이션(096770) 출자 2조원, 한국투자PE이스트브릿지컨소시엄 1조2000억원, MBK컨소시엄 및 사우디 SNB캐피탈로부터 1조1000억원, 싱가포르계 재무적 투자자 5100억원, 유로본드 1조2000억원 등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한 투자자금 확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외에도 사업 본격화에 따른 영업 현금흐름, JV를 통한 파트너사와의 분담, 투자국가의 인센티브 등 여러 방법을 통해 투자재원을 차질 없이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SK온 관계자는 "매년 2배 이상 성장하는 SK온의 성장세가 이번 정책지원 자금 확보로 더욱 가팔라 질 것이다"라며 "향후에도 다양한 조달 방안을 활용해 SK온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해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