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밤 뉴욕 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금 불거지면서 하락했다. 당일 발표된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16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431.20p(-1.26%) 하락한 3만3696.85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보다 57.19p(-1.38%) 내린 4090.41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14.76p(-1.78%) 밀린 1만1855.83에 장을 마쳤다.
미국 노동부가 이날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 6.0% 상승하면서 예상치인 5.4%를 훌쩍 뛰어넘었다. 전월치도 6.2%에서 6.5%로 상향 조정됐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도 전년비 5.4%를 기록했다. 이 역시 예상치인 4.9%를 크게 웃돈 수치다.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도 증시에 부담이 됐다.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총재는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50bp 금리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2월 FOMC에서도 50bp 인상을 옹호했다.
같은 날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준 총재도 25bp로 낮춰졌던 금리인상 속도가 다시금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올해 금리인하가 필요해 보이지 않는다"며 분명한 입장을 내놓았다.
시장금리는 상승 반응했다. 미국 국채 10년물은 전일대비 6bp 오른 3.86%를,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2bp 상승한 4.65%로 마감했다. 달러 인덱스도 높아진 금리를 따라 오르며 104pt선을 넘어섰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 섹터가 하락한 가운데 경기소비재 섹터가 2.16% 내리면서 가장 부진했다. 그 다음으로 IT와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소재가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두드러졌다"며 "반면 소비재와 유틸리티는 1% 미만의 내림세를 보이며 방어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국제유가는 전날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중국이 올해 전 세계 석유 수요 증가분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하락세를 기록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10달러(-0.13%) 내린 배럴당 78.4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0.24달러(-0.28%) 하락한 배럴당 85.14달러로 마감했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파리 증시 CAC40 지수는 전일 대비 0.89% 치솟은 7366.16에, 프랑크푸르트 증시 DAX30 지수는 전일 보다 0.18% 상승한 1만5533.64에 거래됐다. 영국 런던 FTSE 100 지수도 0.18% 오른 8012.53에 거래를 마감했다.
한편,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40% 뛴 4297.24에 거래를 종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