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밤 뉴욕증시는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가 둔화했다는 소식의 영향에 상승세를 나타냈다.
2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176.44p(0.53%) 상승한 3만3203.93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43p(0.59%) 오른 3844.82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1.74p(0.21%) 뛴 1만497.86에 장을 마쳤다.
뉴욕 금융시장은 오는 26일 크리스마스 대체공휴일로 휴장한다. 이 때문에 연휴를 앞두고 한산한 거래 속에 시장은 상승과 하락을 오갔다.
이날 투자자들은 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를 비롯해 각종 경제지표를 주시했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예상보다 하회하면서 국채금리가 상승해 장 초반 주가는 하락 압력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금리 인상 계획을 바꿀만한 내용은 없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소비지출이 둔화하고 내구재 수주가 예상보다 더 많이 줄어들면서 경기 침체 우려는 강화됐다. 이후에 나온 소비자심리지수는 이전보다 개선됐고, 기대 인플레이션도 낮아지는 등 지표는 혼재된 모습을 보였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1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 올라 지난달 5.0% 상승보다 둔화했다. 시장 예상치4.6%는 소폭 웃돌았다.
1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로는 0.2% 올라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전달의 0.3% 상승보다 상승률이 낮아졌다. 수치는 전달보다 모두 둔화했으나 예상치에 부합하거나 혹은 예상보다 덜 둔화하면서 투자자들은 실망했다.
국제유가는 WTI와 브렌트유 모두 주간단위로는 10월 이후 사상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이는 러시아의 원유 감산 경고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07달러(2.67%) 오른 배럴당 79.5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해당 가격은 지난 2일 이후 최고치로, 이번 주에만 5.10달러(6.85%) 오르면서 2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내년 2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2.94달러(3.6%) 상승한 배럴당 83.92달러로 마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혼조세를 나타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40 지수는 전일 대비 0.04% 떨어진 6504.90,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 DAX30 지수는 0.19% 뛴 1만3940.93에 거래됐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은 전장대비 0.05% 상승한 7473.01에 거래를 마쳤다.
한편,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대비 0.16% 내린 3817.01에 거래를 종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