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세관 이온스캐너 보유 현황. ⓒ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
[프라임경제] 택배·우편을 이용한 마약 밀수도 늘어나고 있지만, 예방 인프라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15일 "세관의 50%가 단 한 개의 이온스캐너도 없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50개 세관 중 △수원 △대전 △통영 등 26곳의 세관에서는 이온스캐너를 하나도 보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울, 목포 등 10곳은 이온스캐너가 1개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특히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제우편을 통해 밀반입된 마약 건수가 2.5배 가까이 늘어난 부산국제우편센터에서도 이온탐지기를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온스캐너인 경우, 1억분의 1 수준의 마약이나 폭발물 분자가 있어도 찾아낼 수 있는 특징을 가져 마약사범을 적발하는 데 효과적이다.
기존 X-Ray는 사람이 직접 판별해야 해서 소량 마약은 탐지하기 어렵다. 또, 마약 성분도 알아낼 수 없어 국무조정실 산하 마약류 대책 협의회에서는 이온스캐너의 확충을 주문한 바 있다.
강 의원은 "최근 화장품, 인형 등에 마약을 숨겨올 정도로 마약 밀반입이 늘고 있음에도 적발할 수 있는 인프라는 미비한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국내 마약 유통 고리를 끊기 위해 정부와 관계 부처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