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의 MBC기자 전용기 탑승 배제 건에 대해 여당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국민의힘 측은 10일 윤석열 대통령 순방 관련 MBC 기자의 전용기 탑승 배제 관련 언론 탄압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다만, 여당 내에서 일부 비판의 목소리를 내거나 견해를 밝히지 않겠다는 뜻도 나오고 있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번 조치는 MBC 기자의 전용기 탑승만을 허용하지 않았을 뿐, 다른 취재 행위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또, MBC도 민항기를 이용해 취재하겠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전했다.
양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을 언급하면서 "공영방송으로서 막무가내식 자막 조작 보도에 대해 시정·사과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음에도 노력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리고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도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 당시를 언급하면서 언론 탄압이 아니라는 견해를 전했다.
친윤계로 구분되는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은 기자 앞에서 "(전용기 탑승은)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가?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겠다는 것이 탄압인가"라고 되물었다.
하지만, 유승민 전 의원은 본인의 SNS계정으로 "탑승을 거부한 것은 자유라는 헌법가치를 대통령 스스로 훼손하는 결정 아닌가?"라고 밝혔다.
이어 "(MBC의) 보도 내용이 진실 왜곡이라면 이미 고발된 사건이니 수사 결과에 따라 법적 책임을 물으면 된다"고 부연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의원총회 후 기자들 앞에서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재 자유가 있으면 거부의 자유도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그 부분은 제가 논평을 할 부분은 아닌 것 같다. 더 생각해 보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10일 본인의 SNS계정으로 "자유라는 두 글자가 가진 간결함과 무거움, 그리고 어려움"이라고 게재했다.
다만, 지난 31일 이 전 대표가 10.29 참사 관련 대안을 제시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일보다는 상황을 방지하는 방법이 없을까라는 고민을 했다"고 밝힌 것을 통해 정쟁화되고 있는 현 정치 상황에 대한 한탄도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이 전 대표는 이번 참사 대안으로 △지하철 노선의 데이터 기반 무정차 운행 △밀집된 지역 내 PA시스템 도입 △녹사평역 3·4번 출구 인근 공간 활용 등 안전대책을 위한 방안 지원 및 법 개정을 제시했다.
한편,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은 같은 날에 진행된 본회의에서 참사 재발 방지책으로 일본의 경비업법 및 국가공안위원회 규칙 개정, 미국의 국토안보부·국가정보 통합시스템 신설을 언급하면서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