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조경태 의원 '비례대표제 폐지' 강조

"비례대표 도입 인해 정쟁·기득권 싸움만 난무"

박성현 기자 | psh@newprime.co.kr | 2022.10.25 16:57:14
[프라임경제]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국회의원 비례대표제 폐지'를 밝혔다.

조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이미 비례대표제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또다시 비례대표를 3.7배 늘리겠다고 한다"고 언급하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당 대표가 될 경우 비례대표제 폐지를 당론으로 올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조 의원은 "국민은 지금 국회의원 300명도 많다고 한다. 국회의원 누구도 이 사실을 부인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지난 7월 언론사에서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81.9%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국회의원 정수 축소를 위한 비례대표 폐지 논의에 나서야 한다"고 표명했다.

그 이유에 관해 "비례대표제로 인해 양당제는 더욱 견고해졌다. 꼼수 위성정당까지 등장하게 될 정도로 민주주의 후퇴와 정쟁만 난무하는 국회가 됐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민주당의 윤석열 대통령 시정연설 보이콧을 언급하면서 "지금의 국회에는 국민은 사라지고 오로지 정쟁과 기득권 싸움만 남았다"고 밝혔다.

그는 "비례대표 자체도 일부 지도부가 임명하고 있어 공천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고 전했다.

조 의원은 "여기에 비례대표를 지역구 출마를 위한 발판으로 여기고 있어 비례대표에 대한 불신만 높이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이 본인의 SNS계정으로 지역구 출마 위치를 설문한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국회의원 전문성을 위한 비례대표제 유지 질의에 대해 "도입된 6대 국회와 비교하면 입법지원 공무원은 3배 이상, 국회의원 보좌관도 약 7배 정도 충원되는 등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이 포진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비례대표가 사회적 약자 등을 대변하는 원래 취지를 살리는 방안에 대해 "우리나라 직업군이 만개 정도 되는 걸로 알고 있다. (취지대로 하자면) 최소 만명 이상의 국회의원을 뽑아야 한다는 얘기다. 지역구 의원임에도 사회적 약자를 대변할 수 있다"고 답했다.

조 의원은 "우리 경제 상황이나 대외 여건은 어느 때보다 엄중한 상황이다. 정치권은 더 이상 말로만 혁신이 아닌 본인부터 혁신해야 한다"고 밝혔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