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가맹시설 이용 현황표. =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실
[프라임경제]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2019년부터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가맹시설 49.2%가 단 한 번도 이용된 적이 없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체육진흥공단으로부터 받은 2022년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가맹시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전체 가맹시설 2256곳 중 한 번도 이용되지 않는 가맹시설이 1109곳(49.2%)이다.
김 의원은 "국민체육진흥공단은 가맹시설이 2017년 791곳에서 올해 2256곳으로 확대됐다고 홍보했지만, 현재 확대된 가맹시설의 절반 정도가 아무도 이용하지 않는 가맹시설"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전체 가맹시설 중 10회 이하 집행된 곳이 490곳이며 40회 이상 집행된 곳은 200곳이다. 비율로 따지면 8.9%에 불과하다.

2022년 9월 기준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가맹시설 관련 강좌 개설 현황. =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실 제공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올해 기준 전체 2256곳 가맹시설 중 749곳은 장애인스포츠강좌 프로그램 개설이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공공시설(296곳)인 경우 절반 이상인 149곳에서 장애인스포츠 관련 프로그램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단은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관련 프로그램도 개설하지 않는 가맹시설과 아무도 이용하지 않는 가맹시설을 포함시켜 놓고 '늘었다'고 홍보한 것은 문제 있다. 장애인의 체육활동을 보다 실효성 있는 사업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